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모양의 파형을 ‘톱니파’라고 한다. 여기서 [x]는 x가 실수일 때, x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를 뜻한다.예가니는 앞으로 더 많은 작품을 만들어 예술 속의 수학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을 묻자 “평범한 일상에서 수학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i)를 도입해 n=3, n=4일 때의 풀이를 증명했다. 그 뒤로 n이 특정 정수일 때 이를 만족하는 정수해가 없다는 사실이 차례로 밝혀졌다. 하지만 모든 n에 대해 증명할 방법은 결코 밝혀지지 않았다.1980년대, 수학자들은 페르마의 정리를 직접 공략하는 대신 우회로를 찾기 시작했다. 기존의 방정식을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집합에 길이가 3인 등차수열이 무한히 많이 포함돼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처럼 정수론 역사에 길이 남을 연구로 1983년에는 런던수학회가 주는 드모르간 메달과 1991년 영국왕립학회가 주는 실베스터 메달도 받았습니다.맥밀런 암 지원센터 대변인은 “클라우스 로스의 고마운 선택이 암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있습니다. 문제는 이 함수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겁니다.그런데 피아초프슈카 박사가 정수론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하는 복소해석함수★인 ‘모듈러 형식’을 이용해 이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마치 모래사장에서 잃어버린 열쇠를 찾아 자물쇠를 여는 것처럼 딱 맞는 함수를 찾아낸 것이지요.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꼬박 6개월을 수학 공부에만 몰두했다. 그리고 취업한 이후에는 새로운 암호 개발을 위해 정수론과 마주했다.조 부장은 “업무에서 수학이 필요하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고 나니 그 싫었던 수학도 재밌다”며 웃었다. 아픈 이유 통계가 안다기자의 선입견일지 모르지만 이과 중에서 수학하고 가장 ...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학자라는 점을 들 수가 있습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생각을 처음 한 앨런 튜링은 정수론과 수리논리학, 확률론과 암호학에 능한 수학자였습니다. 그는 프로그램에 어떤 요소를 도입하면 컴퓨터가 사람과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이를 판단할 수 있는 튜링테스트를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는 걸까요? 소수는 자기 자신과 1 이외에는 다른 양의 약수가 없는 1보다 큰 양의 정수를 말합니다. 이 수가 무한히 많다는 사실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가 살던 시절부터 증명돼 있었습니다.독일의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15살이던 1792년에 소수표를 세어보고 나서 1부터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있고, 당시 1년을 360일로 두었다는 점에서 60을 사용했다는 추측도 있다.[인수★ 어떤 정수를 나눌 수 있는 수.] 바빌로니아의 수학이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숫자를 나타내는 방식 때문이다. 바빌로니아는 자릿수를 나타내는 ‘위치적 기수법’을 이용해 숫자를 체계적으로 표현했다. 위치적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은 성립할 수 없다. 즉,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면 An+Bn=Cn을 만족하는 정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게 되는 셈이다.1984년,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프라이가 최초로 페르마의 방정식(An+Bn=Cn)을 타원방정식 형태(y2=x3+(An-Bn)x2-AnBn)로 바꿀 수 있다고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마야 숫자는 20진법을 기반으로 했다.수의 역사를 통해 정수와 유리수 체계를 배운 뒤, 과거 다양한 문명에서 등장한 숫자를 소개하고 직접 써보도록 한다. 여러 나라 숫자를 써 보면서 인도-아라비아 숫자의 장점을 이야기해본다. 또한 수학이 처음부터 완벽하게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