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주로 림프절과 같은 림프 기관에서 대기하며 항원의 침입에 대비한다. 생체시스템이
정상
적으로 작동할 때는 B림프구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면역능력이 너무 부족하거나 활발한 세포는 제거되고,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체를 가져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암제를 결합한 뒤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항암제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해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쾰러와 밀스테인은 단일클론항체를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에 대해 쾰러는 밀스테인 덕분이었다고 공을 돌렸다. 그는 1981년 남긴 비망록에서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 단백질을 발현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해 제작한다. 이때 인체에 DNA만 주입하면
정상
적으로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DNA가 인간 세포에서도 발현될 수 있는 플라스미드(스스로 복제할 수 있는 유전물질)에 DNA를 끼워 넣어 만든다. DNA 백신의 장점은 보관이 매우 쉽다는 것이다. DNA는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스타부딘을 재합성해 HIV에 처리한 결과, HIV는
정상
적으로 DNA를 합성하지 못하고 비
정상
적인 짧은 DNA를 만들어내며 증식이 억제됐다. 스타부딘은 1994년 에이즈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당시 스타부딘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비싼 가격 때문이었다. 이에 프루소프는 2001년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각광 받고 있다.단, 이를 위해서는 첨단 생명공학 기술이 다수 요구된다. 그중 하나가
정상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체내 세포에 정확하게 운반할 수단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사로 바이러스가 주목받고 있다.본래 바이러스는 증식을 위해 자신의 DNA나 RNA를 숙주세포의 DNA에 삽입하는 과정을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내로 침투시켜 세포질을 해체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 같은 비
정상
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림프구가 활성화되도록 돕는다. 특히 항체를 만들 수 있도록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도움 T림프구나 수지상세포가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매우 크다. 일부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면역세포나 관련 신호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정상
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면역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키면 내 몸의 것을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청주동물원의 수의사들이 협력하여 정성스럽게 돌봤다. 결국 독수리는
정상
몸무게를 회복했고 비행 능력도 좋아졌다. 이듬해 1월 24일, 구조된 독수리를 드디어 청주시 내수읍 비상저수지 근처로 데려갔다. 독수리가 있던 상자의 문을 열자 독수리는 곧 제방뚝을 박차고 저수지 위로 오르더니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노출된 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
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있는 일부 세포가 백혈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한 점은 T림프구와 B림프구 등이 공격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함께 식욕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에서는 그렐린 수치가 비
정상
적으로 높은 상태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그렐린 저항성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그렐린의 상승과 연동된 보상회로가 작동되는 것도 이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배고픈 느낌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