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암제를 결합한 뒤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항암제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해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쾰러와 밀스테인은 단일클론항체를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에 대해 쾰러는 밀스테인 덕분이었다고 공을 돌렸다. 그는 1981년 남긴 비망록에서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 단백질을 발현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해 제작한다. 이때 인체에 DNA만 주입하면
정상
적으로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DNA가 인간 세포에서도 발현될 수 있는 플라스미드(스스로 복제할 수 있는 유전물질)에 DNA를 끼워 넣어 만든다. DNA 백신의 장점은 보관이 매우 쉽다는 것이다. DNA는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형인 소두증 신생아가 증가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 소두증은
정상
보다 뇌의 크기가 10% 정도 작게 태어나는 기형이다. 한때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란도 있었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2월 1일 브라질 등에서 보고된 소두증과 그 밖의 신경장애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노출된 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
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있는 일부 세포가 백혈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한 점은 T림프구와 B림프구 등이 공격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스타부딘을 재합성해 HIV에 처리한 결과, HIV는
정상
적으로 DNA를 합성하지 못하고 비
정상
적인 짧은 DNA를 만들어내며 증식이 억제됐다. 스타부딘은 1994년 에이즈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당시 스타부딘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비싼 가격 때문이었다. 이에 프루소프는 2001년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청주동물원의 수의사들이 협력하여 정성스럽게 돌봤다. 결국 독수리는
정상
몸무게를 회복했고 비행 능력도 좋아졌다. 이듬해 1월 24일, 구조된 독수리를 드디어 청주시 내수읍 비상저수지 근처로 데려갔다. 독수리가 있던 상자의 문을 열자 독수리는 곧 제방뚝을 박차고 저수지 위로 오르더니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매우 크다. 일부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면역세포나 관련 신호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정상
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면역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키면 내 몸의 것을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함께 식욕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에서는 그렐린 수치가 비
정상
적으로 높은 상태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그렐린 저항성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그렐린의 상승과 연동된 보상회로가 작동되는 것도 이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배고픈 느낌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