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수 있다. 인공위성에서 직접 지구로 통신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그러면 에베레스트산 정상이든, 8000m 상공 비행기 안이든 어디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성인터넷이라 한다. 현재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GPS)을 살펴봤을 땐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GPS는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총 다섯 번 점화했다. 첫 번째 점화는 테스트였다. 10분간 짧게 점화한 뒤, 위성 동작이 정상인지 확인했다. 온전하게 동작한 걸 확인한 뒤, 20~40분 정도씩 네 번 더 점화했다. 이를 통해 근지점과 원지점 고도가 모두 3만6000km인 원형궤도에 진입했다.목표궤도에 진입하는 사이 위성은 자신의 위치를 더 ...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들어간 암컷 세포는 기능을 하지 못했다. 반대로 난소(여성 조직)에 주입한 수컷 세포도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않았다. 이는 닭의 경우 한 번 세포의 성별이 결정되면 환경이 달라져도 성별이 바뀌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닭은 한쪽은 암컷, 한쪽은 수컷으로 성별이 한 번 결정되면 성체로 자랄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입사각을 바꿔가며 계속 던져 볼 심산이었죠. 분명 물수제비 기계가 처음부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는 않을 테니까요. 참고로 여러 번 물속에 던질 거라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찰흙을 사용했습니다. 이 정도면 환경부 장관상쯤은 받겠네요. 자, 이제 던져볼 시간! 물수제비 기계를 끌고 근처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진이 찍힌 곳은 명왕성 적도 부근 크툴루 지역의 산꼭대기로, 고도 1.5km부터 산 정상인 고도 3.5km까지는 ‘서리’가 덮여 있었다. 최근 이 서리의 구체적인 조성과 생성 과정이 밝혀졌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공동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호의 분광장치(LEISA)로 ... ...
- 과학난제3. 불로장생의 삶,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실험실에서 대장암 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회복시켰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어요. 정상세포로 돌아온 암세포는 이전의 대장 세포의 기능도 다시 갖췄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를 동물과 인간에게까지 확장할 계획이지요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브레이크와 등화장치(전조등, 방향지시등 등)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용어정리 * 정지거리주행자가 정지 상황을 인식했을 때부터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나아간 거리. * 최소 회전반경차가 최소로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요원 자신이다. 인버전된 요원이 미래에서 회전문으로 들어가 시간을 뒤집은 뒤 다시 정상적인 시간에서 회전문을 탈출한 것이다. 이를 과거의 요원 시점으로 보면, 아무도 없던 회전문에서 갑자기 괴한(자신)이 나타나 탈출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를 확장하면, 요원이 만약 미래에 여러 번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또 사기를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냄새 분자’가 콧속으로 들어와도 세포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기 때문이에요.코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다면, 냄새 분자는 콧속 천장인 ‘후각상피’의 점막에 녹아요. 후각상피의 후각세포들은 냄새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후각수용체’를 달고 있어요. 2004년에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mRNA와 단백질이 충분히 만들어진다. 우리 몸은 세포 내 단백질의 농도를 조절해 세포를 정상 상태로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이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항상성에 문제가 생기면 세포가 사멸하거나 암세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4중나선 구조는 그 자체가 특정 단백질의 농도 변화를 유도하기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