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자
옮겨심기
이종
이주
이전
적립
축재
d라이브러리
"
이식
"(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지 체세포로 변할 수 있는 일종의 씨앗 세포이다. 병든 세포 대신 나의 줄기세포를
이식
해 알츠하이머나 당뇨병 등 수많은 질병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줄기세포주은행도 있다! 본 줄기세포.지금도 세계 각국에서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병 치료 기술을 먼저 개발하기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개념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로봇이 아니라 사람의 몸에
이식
할 목적으로 이런 인공근육을 꾸준히 연구해 왔습니다. 이런 ‘생체용인공근육’ 기술을 응용한다면 로봇에 쓰지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미 2006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대나 연구팀이, 2009년에는 댈러스텍사스대 ... ...
[과학뉴스] AI 안 걸리는 유전자 변형 닭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에든버러대 공동연구팀은 수탉 유전자에 가짜 바이러스 게놈을 만드는 유전자를
이식
해 AI바이러스 증식을 방해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사이언스’ 1월 14일자에 게재됐다.바이러스는 세포 내에 들어가 자기 복제를 하면서 증식한다. 그런데 이번에 개발한 유전자 변형 닭에서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효과를 분석했다. 이를 뽑아야 할 정도로 풍치가 심하게 진행된 개의 줄기세포를 추출해
이식
한 결과 치조골(치아가 박혀 있는 뼈)이 최대 80%까지 재생됐다. 치아가 제 기능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주인대와 백악질도 되살아나 기존의 치료법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임을 증명했다. 사람의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실험하는 데 쓴다. 그 다음 이 운동패턴을 발목안정화기술을 확보한 로봇에게
이식
하면 두발로봇도 사람처럼 걷거나 달릴 수 있게 된다.] [휴보2의 달리기 기능을 연구한 조백규 박사가 레이저로 다리의 정렬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로봇은 사람과 달라 부품이 조금만 비틀어져 있어도 올바르게 ... ...
콜록콜록 바이러스 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과학의 발달로 사람의 건강상태를 무선으로 병원에 알리는 장치는 물론 인공심장 같은
이식
장치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이곳에 컴퓨터 바이러스가 들어가면 사람을 공격하는 것이 되지요. 그러니 이런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책이 필요하겠죠?감기약, 있다? 없다?바이러스와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기술에 대한 공포휴대전화, 엘리베이터 등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첨단기계나 안구
이식
등 의료 기술의 발달을 주제로 한 공포 영화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 눈에 이해가 쏙쏙 특집 한 걸음 더!그런데 아까 보니 고양이를 무서워하던데…, 피조아 공주도 무서워하는 것이 있었소?고양이가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면역 억제제도 곰팡이가 만든단다. 신장 이나 간 등의 장기가 고장나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
받으면 인체가 거부 반응을 일으키게 돼. 이 때, 곰팡이가 만든 면역 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 린’이 거부반응을 막아 주는 거야. 암세포를 굶겨 죽이는 곰팡이도 있어. 이 곰팡이도 페니실린처럼 우연히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쉴 때마다 에너지가 생긴다. 왕 교수팀은 나노와이어를 살아 있는 쥐의 횡격막 근육에
이식
했는데, 쥐가 숨을 쉴 때마다 2~3mW의 전압으로 4pA(피코암페어) 정도의 전류가 생겼다. 왕 교수팀은 수많은 나노발전기를 연결해 전기를 모아 LCD 화면을 켜거나 LED 조명을 밝히는 데도 성공했다. 이 기술은 200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붉은털원숭이 뇌의 앞부분(전 두엽)과 윗부분(두정엽)에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극을
이식
했다. 이곳 이 근육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극을 컴퓨터 와, 컴퓨터는 로봇팔과 연결했다. 원숭이는 몇 주 정도의 훈련을 받고 는 곧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여 보였다. 2008년엔 미국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