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회"(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기준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방욱(국가생명윤리위원회 위원) “배아 유전자 교정을 통한 치료는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인간 배아의 유전자 교정을 통한 치료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한 개의 유전자는 한 가지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 우리는 그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연구와 함께 소행성 탐사에 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유엔의 평화적우주이용위원회(COPUOS) 근지구천체분야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fullmoon@kasi.re ...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맡게 됐어요. 처음으로 연구소 밖 여성 과학자 이슈에 눈을 뜨게 됐죠. 그 때부터 각종 위원회에 참석하며 기업인, 공무원 등 다양한 사람을 만났습니다. 상승작용이 일어나면서 점점 보는 눈이 넓어지고 네트워크가 쌓이더군요.”신 의원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직을 내려놓고 2016년 당시 ... ...
- Part 4. 계주처럼 여럿이 함께 개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개최지로 선정되면 사상 처음으로 공동개최 올림픽이 탄생한답니다. 2014년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발표한 ‘올림픽 아젠다 2020’ 덕분이지요. 아젠다 2020에는 1국가 1도시 개최 원칙을 없애고, 분산개최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요. 1국가 1도시 개최 원칙은 그간 여러 개최국에 재정 악화와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는 CASP에는 전 세계 생물정보계산과학자들이 집결한다. CASP 조직위원회는 대회가 열리는 해의 5월부터 매일 2~3개씩 3차원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 관련 문제를 무작위로 출제한다. 출전팀은 이에 대한 답안을 마련해 제출한다. 실제 대회기간에는 출제된 문제를 7가지 ... ...
- Part 2. 올림픽이 남긴 환경 파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짓자 새로운 서식지를 찾지 못한 동물들이 골프장에 나타난 거예요. 리우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동물이 사는 친환경 경기장이라고 홍보했지만, 환경단체는 식물 다양성이 적고 서식지가 산산조각이 나 골프장에선 생태계가 제대로 유지될 수 없다며 반발했지요. 성화 봉송에 동물이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정했다. 김주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 선임연구원은 “미국 국립연구위원회(NRC·National Research Council)는 10년마다 행성과학의 연구 방향을 정하는데, 2013~2022년 주요계획 중 하나가 태양계 생성과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 것”이라며 “카이퍼 벨트에 있는 천체들은 태양계 생성 초기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적어 물품을 제출한 겁니다. 알 뮤트는 뒤샹이 만든 가상의 예술가였지요. 그런데 조직위원회가 방침을 어기고 이 작품을 전시하지 못하게 전시장의 한 구석으로 치워버립니다. 이때 분실돼 버리는 바람에 처음 출품한 작품은 영원히 사라집니다. 이후 뒤샹은 직접 17개의 복제품을 만들어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국내 복제약이다. ● 의문 1 - 미성년자에게 유독 위험하다던데? 1월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타미플루 복용 부작용 및 이상 사례 보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타미플루 복용후 추락사한 사고가 총 2차례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0 연구 목적으로 유전자 편집 사용 제한 송기원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는 “특정한 생명공학 기술의 부작용을 연구하려면 적어도 10년 이상 추적 조사가 필요한데, 크리스퍼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실험이 시작된 지는 2~3년에 불과하다”며 “시간이 더 지나야 할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