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회"(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한국동물위원회 긴급회의 의장, 산천어입니다. 오늘은 급하게 회의할 안건이 생겨 이렇게 동물 대표단을 모았습니다. 겨울철 각종 어류 축제가 열리며 우리 어류들이 아주 곤혹스러운 일을 겪고 있거든요. 그런데 조사해 보니, 다른 동물들도 마찬가지라고 입을 모으더군요. 다들 ‘축제’란 말만 ...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의견을 전달해 달라고 부모님을 설득해 줬으면 좋겠어요. ● 긴급회의 결과, 우리 동물 위원회는 인간들이 생태계에 도움이 되는 동물 축제를 즐겼으면 좋겠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어요. 또, 우리의 고충을 모르고 이미 동물 축제에 다녀온 어린이 친구들이 있다면, 너무 미안해 하지 마세요. 단! ... ...
- Part 2.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양측의 주장을 들어보니 좀 어렵군요. 크리스퍼의 원리를 보다 분명히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겠어요. 크리스퍼(유전자가위)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유전자를 원하는 대로 자르고, 붙이고! 크리스퍼는 인간이나 동식물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을 말해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자르거나, 잘 ...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원장, 이향숙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전 대한수학회장)가 선정위원으로 참여했다. 선정위원회는 2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선정위원들은 “파워피플 선정이 업적 중심의 기존 학술상과 차별화한 참신한 시도”라면서도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파워피플을 선정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입을 ... ...
- 韓-中 폴더블폰 대전, 승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될까?2월 2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막이 오른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19’ 위원회는 올해의 새 모바일 기기로 메이트 X를 꼽아 화웨이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외신들은 일제히 화웨이(약 295만 원)가 삼성전자(약 225만 원)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출고가에 대해 회의적인 ... ...
- Intro. 유전자가위 법정에 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어과동 법정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오늘 재판은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의 죄를 따져보는 시간입니다. 크리스퍼는 지난해 유전자 교정 아기를 만드는 연구에 참여한 죄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이 연구가 윤리적인 측면에서 잘못되었다는 과학자들의 거센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지 ... ...
- Part 1. 에이즈 예방 VS 실패한 연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지난해 11월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허젠쿠이 교수는 ‘인간 유전자 편집 국제회의’에서 크리스퍼 실험을 통해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 쌍둥이가 태어났다고 발표했어요. 이 소식을 들은 과학계는 허젠쿠이 교수의 연구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합니다. 양쪽 변론 시작하시지요. ● 사건 요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다. 원인은 다양한데, 공인구 반발력 문제가 대표적인 문제로 대두됐다. 이에 한국야구위원회는 올 시즌 타고투저 현상을 줄이기 위해 공인구의 반발계수를 낮추고 실밥의 폭을 늘리고 높이는 줄였다. 이 변화는 과연 타자와 투수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스타 선수 영입은 기대할 수 없고, 잘 키워 ... ...
- 이상엽|국제학술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리더들이 참석하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글로벌미래위원회 중 생명공학위원회의 초대 공동의장을 맡았고, 지난해 제2대 공동의장으로 재선임됐다. ‘미국국립과학원(NAS)’과 ‘미국공학한림원(NAE)’의 외국회원이기도 하다. 그와 같은 자격을 가진 과학자는 전 세계에서 단 13명뿐이다(201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지역이었어요. 하지만 전세계에서 고래의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는 상업 포경을 금지했지요. 그러면서 울산도 고래 포획지에서 고래 관광지로 탈바꿈했답니다. 1995년부터 시작된 ‘울산고래축제’는 지금까지 매해 여름 열리며, 울산의 포경 역사를 비롯한 고래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