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살던 쥐는 등쪽솔기핵이라는 부분이 활성화돼 있었다.이 부위가 활성화되면 스트레스를
억제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분비된다. 연구팀은 무리에 있던 쥐 한 마리를 따로 고립시켰다가 다시 무리에 넣었다. 그랬더니 등쪽솔기핵이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고립된 경험이 있는 쥐는 혼자라는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이라는 단백질이 근육을 분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는가 하면, 혈액 속에 노화를
억제
해줄 마이크로RNA(miRNA)를 찾으려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GDF11의 정확한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요.그런데 최근 이를 사람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을 완화시켜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팀이 항암 내성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억제
하는 siRNA와 항암제를 함께 투약해 실험한 결과 항암제만 먹을 때보다 약효가 7배 높아졌다. 이 연구 결과는 올해 8월 26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doi:10.1038/srep32363).일각에서는 siRNA를 이용해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교수팀은 자기장에서 생겨난 난류가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성 현상’을
억제
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9월 8일 밝혔다.태양에서는 핵융합이 일어나면서 에너지가 생긴다. 지상에서 핵융합을 실현하려면 고온의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가둘 수 있어야 한다. 대개 토카막에 자기장으로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심하게 다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한다.그러나 사실 과시행동은 실질적인 폭력을
억제
하는 기능을 한다. 과시행동 덕분에 서열이 낮은 침팬지가 물러나면, 물리적 충돌 없이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가 도출된다. 침팬지의 폭력성은 아프리카의 자연 환경에 적응한 사회적 행동인 것이다. 수컷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네번째 고리에 카르복시기(-COOH)가 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오른쪽 그림 아래)는 염증을
억제
하는 효과가 뛰어나 피부치료제, 감기약 등에 널리 쓰인다.김재환이 복용한 1-테스토스테론은 동화작용 스테로이드의 한 종류다. 동화작용은 몸속에서 지방을 태우고 근육을 합성해 전체적인 대사율을 ... ...
[과학뉴스] 아침에 몸이 찌뿌드드한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맨체스터대 줄리 깁스 연구원팀은 ‘크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밤사이 염증반응을
억제
했다가 아침이 되면 염증반응을 재개해 통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쥐와 사람의 무릎 관절에서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윤활막세포를 추출한 뒤, 크립토크롬을 생성하는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환자의 장 속에 유익한 장내미생물을 넣어 건강한 장내미생물 환경을 만들면 유해균을
억제
할 수 있다.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자세한 방법과 효과를 알아봤다.Q. 무엇을, 얼마나 넣는가항생제를 복용하지 않고 알레르기와 같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의 대변에서 장내미생물을 추출해 넣는다.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아 침 말씀하시는 거죠?해 네. 아밀레이스는 교감신경과 관련 있고 신경작용에 의한
억제
에도 직접 관여합니다. 쾌적한 환경에서는 타액 아밀레이스 활성이 저하되지만 불쾌한 자극에는 활성이 증가하죠. 다만 채취시간을 잘 선택해야 하는데요. 타액의 아밀레이스 분비량은 보통 오전 10시에 가장 ... ...
[과학뉴스] 모기에 놀란 백혈구가 바이러스 키운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바이러스 증식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맥킴미 교수는 “모기에 물렸을 때 염증반응을
억제
해 백혈구 수를 조절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도 낮출 수 있다”며 “모기를 매개로 하는 수백 가지 바이러스의 대처 방안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면역’ 6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