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억제"(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왼손잡이, 척수가 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2주차 태아의 척수에서 손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을 발견했고, 활성을 억제하는 메틸기가 이 유전자에 붙으면서 오른손·왼손 유전자 발현에 비대칭이 발생해 주로 쓰는 손이 결정된다고 분석했다.옥렌버그 교수는 “오른손·왼손잡이가 뇌의 비대칭에 의해 생긴다는 기존의 생각을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서 눈 건강에 해롭다. 푸른 빛이 식욕을 낮추는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해 비만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오지’의 밤에도 꿀잠은 어려워밝은 조명을 끄고,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꿀잠을 잘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꼭 그렇지도 않다.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설명했다.건강한 사람도 술을 많이 마시면 결국 취한다. 알코올 성분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알코올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약간 떨어뜨린다. 염증이 있는 경우에는 대식세포와 호중성 백혈구 같은 면역세포가 혈관 밖으로 혈장과 함께 빠져나가면서 염증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지구의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2℃ 이내로 상승 억제하는 ‘2℃ 목표’ 달성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위와 같은 결론이 나왔다. 미국의 탄소배출량이 전세계 배출량의 18%로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데도 말이다.FACT B하지만 미국의 이 같은 태도가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런 반응은 PLCγ1이 결핍된 흥분성 신경세포가 세포 내 칼슘 조절에 이상을 일으켜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 교수는 “조울증이 일어나는 기작에 대해 한 걸음 다가간 만큼, 향후 조울증에 대한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달고 기름진 식단이 살찌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햄버거나 피자, 치킨처럼 열량이 높은 음식을 많이 먹으면 왜 비만이 될까. 최근 서구식 식단처럼 지방과 설탕이 많은 식품을 먹으면 뇌가 폭식 ... 약이 시판됐지만 정신적인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있다”며 “새로 발견한 AM6545억제제는 뇌에 전달되지 않아 부작용이 없다”고 말했다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안와전두피질 부위와의 연결이 강화된 것이었다. 안와전두피질은 활성화된 편도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3년 10개월이 지난 시점에는 편도체와 안와전두피질, 시상 등 주변 부위의 연결성이 정상인 수준으로 돌아갔다.류 교수팀은 이 원리를 적용한 PTSD 치료 방법도 개발 중이다. 자기장으로 ... ...
-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포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물질인 ‘글리코겐 신테이스 키네이스(GSK)3’의 억제제로 이용하는 티데글루십이라는 약물이 치아 안쪽 부분인 치수의 줄기세포를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티데글루십은 안전성이 이미 입증돼 치매 환자의 신경퇴행 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시험에서 사용하는 ...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뇌 시상하부에서 대뇌피질로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ANO2 발현을 억제한 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통증이 지속적이고 빈번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신경세포가 감각 정보를 과하게 전달해 통증을 지속시켰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뇌의 정상적인 감각 전달은 저해하지 ... ...
- [Issue] 술, 안주 없이 마셔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포름산이 나옵니다. 소량의 술을 마시면 다시 메탄올의 대사를 억제시킬 수 있습니다. 또 술을 마시면 근육이 분해된다는 소문이 있는데요. 물이 빠질 뿐, 단백질은 그대로 근육에 남아있기 때문에 사실이 아닙니다. 운동할 시간에 술을 마시기 때문이라고보는 게 타당합니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