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넓어 불가능했다.메더워는 하는 수 없이 다른 사람에게 기증받은 피부를 환자의 화상 부위에 이식했다. 하지만 열흘 정도가 지나자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며 이식한 피부가 괴사했다. 메더워는 기증받은 피부를 한 번 더 같은 환자에게 이식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피부가 곧바로 괴사했다. 메더워는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서브유닛 백신은 이름에서 짐작되듯 바이러스를 조각내, 그중 항원으로 작용하는 부위만 분리한 뒤 정제해 만든 백신이다. 서브유닛 백신은 세포전체 백신보다는 부작용 우려가 낮지만, 항원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불순물 등이 걸러지지 않는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주로 ... ...
- [시사과학] ① 동물 해부실습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LCD 화면으로 돼 있고, 실제와 똑같은 신체 모습이 나타나요. 화면에 손가락을 대고 신체 부위를 절개하는 행동을 하면, 이를 인식해 해부가 이뤄지지요. 이러한 대체 방법들은 동물의 희생을 최소화하고 반복적인 실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어요. 전세계 여러 학교들도 도입을 ...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때문이다. 하지만 물리학자로서는 불행하게도 우리 몸은 하나의 강체가 아니다. 몸의 각 부위는 독립적으로 제각각 움직인다. 그래서 몸의 움직임을 동역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는 각 신체의 뼈들을 강체로 근사한 다음, 여러 개의 강체가 독립적으로 움직인다고 가정해야 한다.일례로 필자가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데 핵심 역할을 한다. SREBP는 세포핵으로 들어갈 경우 스테롤조절인자라고 불리는 DNA 부위에 결합해 ‘베타 하이드록시 베타 메틸글루타릴-코에이 환원효소(HMG-CoA)’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등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들이 발현되도록 촉진한다. 그 결과 지방세포가 비대해지고 결국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조절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doi: 10.1126/science.aaf5375위장과 지방세포처럼 인체의 말초 부위에서 합성된 물질들이 뇌에 도달해 뇌의 기능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몸과 뇌, 다시 말해 몸과 마음이 연결돼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뇌과학 연구는 비만이나 식욕에 대한 이해를 급속히 넓혀가고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한다.인체가 화학반응을 통해 다량영양소를 분해한 뒤 남은 에너지는 인체 각 부위에 저장되며, 이게 흔히 말하는 살이다. 살은 뼈를 제외한 모든 연조직이며 지방세포, 피부세포, 근육세포 등으로 이뤄진 조직을 통칭한다. 여기서 살이 찌거나 빠지는 것과 관련된 성분은 다량영양소 중에서도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후 다시 날개에 열을 비추고 적외선 카메라로 확인해 봤더니, 이 두 곳은 다른 부위와 달리 항상 차갑게 유지되고 있었대. 나비는 날개가 매우 얇아서 햇빛을 받으면 금방 뜨거워지거든. 이때 살아있는 세포조직이 몸의 열을 인지하고 방출해서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거야. Q 나비에 대한 재밌는 ...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포도당 공동수송체(SGLT)-1 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자 포도당이 장 속에 들어와도 cNST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SGLT-1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땐 미주신경을 거쳐 cNST가 활성화됐다. SGLT-1 단백질은 위장관 내부에서 포도당의 흡수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주커 교수는 “이번 연구로 뇌가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근육이나 신경을 강화해 초인적인 힘과 속도를 만들어 낸다. 현실에서는 신체 특정 부위에 칩을 이식한 뒤 이 칩과 기계를 연결해 원하는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뇌-기계 접속(BMI·Brain-machine interface) 기술과 유사하다.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인공 눈이 뇌에 심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