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그나마 항원 부위의 변화가 조금씩 천천히 일어난 결과다. 이를 항원소변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2009년 발생한 신종플루는 돼지에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항원대변이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는 능력을 얻은 경우다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포털(portal)’ 역할을 하는 ACE2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장기로도 전파되는 조직이다. 흔히 암이라 부르며, 뇌에 생긴 악성 종양은 다른 신체 부위에 생긴 것과 특성이 달라 뇌종양이라고 부른다.두 악의 만남은 1960년대 시작됐다. 암 환자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건강이 더 안 좋아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갑자기 병세가 호전되는 사례가 잇따라 나타난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히에로니무스 파브리치우스라는 연구원이 닭을 해부하다가 꼬리 아래에서 새로운 부위를 발견했고, 이를 ‘윤활주머니(bursa of Fabricius)’라 불렀다. 후에 중요한 면역세포가 여기서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7세기 초에는 가스파레 아셀리라는 또 다른 이탈리아 과학자가 개의 위장을 해부하다가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차단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바이러스 침입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파이크 단백질은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위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박쥐 세포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탄생했다. 돌연변이에 관계없이 코로나바이러스가 공통으로 갖는 항원을 찾아야 만능 백신이 현실이 될 수 있다. 여전히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숙주로 삼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체와 89.1% 일치하지만, 실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부위는 달라 계통학적으로는 신종으로 분류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출현으로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와 메르스를 포함해 총 7종이 됐다. 2020년 1월 9일, 중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침입해 대식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가까운 지역의 T림프구가 활성화되고 항원 침투 부위로 출동한다. 또 수지상세포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한다. 활성화된 T림프구는 기능에 따라 세포독성(cytotoxic) T림프구, 도움(helper) T림프구, 기억 T림프구, 조절 T림프구 등 네 가지로 구분되며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폴리오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긴다. 폴리오바이러스는 중추신경계 중 운동을 담당하는 부위에 급성 감염을 일으키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신체 손상을 유발한다. 당시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인 황열병 백신이 효과를 보이자 과학자들은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도 착수했다. 1930년대 중반 미국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재직하던 로드니 포터도 항체를 연구하고 있었다. 포터는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는 부위를 알아내고자 했다. 포터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파파인 효소로 항체를 세 부분으로 나눴다. 이 중 두 개는 동일하며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부분이었다. 나머지 하나는 항원과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