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MO는 인생의 전환점! 수학 영재는 무슨 일을 할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졸업논문을 작성했어요. 마침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에서도 동형암호에 관심이 많아 그곳에 입사했고, 이후 본인의 연구팀을 꾸리기 위해 서울대학교 교수가 됐지요. “세상에는 할 일이 많고 자신의 능력을 잘 펼칠 수 있는 분야도 많아요. 그러니까 조금만 더 시야를 넓게 가졌으면 좋겠어요.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공개한 제임스 웹 이미지인 SMACS 0723 은하단이다. SMACS 0723 은하단은 약 4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단인데, 이미지를 살펴보면 매우 붉은 원호 모양의 은하가 많이 보인다. 이 은하들은 은하단보다 훨씬 멀리 있는 초기우주의 은하들로, 원호 모양으로 휘어져 보이는 이유는 중력렌즈 효과 ... ...
- [SF소설] 플로리다와 나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손짓했다. “이리 오렴.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검사를 해보자꾸나.”의사를 따라 도착한 곳에는 커다란 기계가 있었다. 화분을 끌어안은 채로 그녀를 따라갔다.“식물의 마음을 읽는 기계란다.”의사는 내게 넘겨받은 플로리다를 기계 위에 놓으며 말했다. 갑자기 이 병원이 의심스러워졌다. 이 ...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끈기는 고양이를 좋아하는 마음이 아니면 쉽사리 갖기 어렵다. 아마도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랑하는 고양이의 말을 알아듣고 싶은 마음이 쇠츠 교수의 원동력 아니었을까. 지금도 세계에서는 수많은 연구자들이 고양이를 향한 애정으로 연구를 지속하고 있을 것이다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의미가 큰 수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물리 과목에선 레일건(자기장이 변하는 곳에 있는 도체에서 전압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물체를 빠르게 발사하는 장치)을 직접 제작하기도 했는데요. 학생들이 전자기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뿐만 아니라, 해당 개념의 공학적, 기술적 ... ...
- 레고시티와 함께하는 소방 안전 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강조했어요. 실험이 끝난 뒤에는 레고 시티 제품을 활용해 소방관이 직접 가기 어려운 곳에도 갈 수 있는 소방 드론과 헬기 등 소방 장비들의 역할을 알아봤습니다. 교수님은 레고 시티 소방차를 살피고는 “기름에 붙은 불은 물을 뿌리면 더 확산될 위험이 있어 공기를 차단해 불을 끄는 폼(거품)이 ... ...
- [냠냠! 어수잼] '원'은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누군가 평평한 종이 위에 점 하나를 찍었어. 그리고 그 점으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곳에 점을 하나 더 찍었지. 정확히 얼마만큼이냐고? 글쎄, 5cm라고 해볼까? 그다음엔 처음에 찍은 점의 아래쪽, 오른쪽, 왼쪽에도 정확히 5cm 떨어진 거리에 점을 찍었어. 똑같은 방법으로 가운뎃점을 둘러싼 다른 ... ...
- 경시대회에 개막식이 있다고?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투르크메니스탄 등 다양했어요. 수학이라는 이름 하나로 지구 곳곳에서 모여든 국가대표들은 개막식이 끝나고 뒤섞여 쉴 새 없이 기념사진을 찍었답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도 이번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그중 이반 보르트노브스키, 블라디미르 컵,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불리는 미적분은 무선통신 기기 설계, 로켓 발사, 인공지능, 감염병 예측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그중 미분은 변화하는 양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상의 모든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므로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미분이 꼭 필요하다. 이번 시간에는 미분을 탐구해보자 ... ...
- [최신 이슈] 숲에서 만나요, 포레스트 강원...강원세계산림엑스포 2023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체 면적의 63%가 산림이지만 강원특별자치도는 81.2%가 산림입니다. 그 어느 곳보다 산림이 주요한 지역 자원이기에,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산림은 특별한 존재죠. 또 단순히 넓은 면적의 산림을 처음부터 보유한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크고 작은 산불 등을 거치며 몇 번이고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