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빗자루만 타면 울렁울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기는 이유는?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소리가 나는 곳으로 달려갔어요. 그곳에는 오랜만에 보는 반가운 얼굴들이 있었습니다. 바로 도로시와 남쪽 마녀였죠. 그런데 도로시의 얼굴이 좋지 않았어요. 안색은 새하얗고, 남쪽 마녀가 들고 있는 통에 계속 구토를 하고 있었죠. 꿀록 탐정은 ... ...
- [도전! M 체스마스터] 아무도 나를 막을 수 없어! 나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중앙에 있는 나이트는 여덟 곳으로 움직일 수 있지요. 하지 만 가장자리로 갈수록 움직일 곳이 적어져 힘을 잃어요. 그래서 나이트는 중앙으로 가는 것이 유리하답니다.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열까지 가르쳐 주는 곳이 아니라 연구할 내용을 스스로 찾아나가는 과정을 배우는 곳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대학원에 들어오기 전에 가능하다면 3, 4학년에 걸쳐 연구를 두 번 정도 해보면 좋아요. 프린스턴대 대학원을 지원한 이유는 제가 관심 있는 확률론의 연구 분야를 활발하게 연구 중인 ... ...
- 폴리매스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풀거나 문제 하나를 친구들과 토론해서 푼다고 해요. 이 모든 걸 경험해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폴리매스예요. 폴리매스에서 수학을 즐기며, 국내 최고의 수학자와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출신 대학생에게 멘토링도 받고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들도 만나보세요! Q. 폴리매스란 무엇인가요? 2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각각 측정했다. 아이트래킹(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해 시선이 머무는 곳도 살폈다. 서울시는 “기존 노선도와 개선된 노선도의 소요 시간을 비교했을 때 실험대상이 역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최대 55%, 환승역을 거치는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최대 69% 단축된 것으로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시기가 있었다고 추정한다. 초기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다. 선라이즈 아크 은하 곳곳에서 확인된, 둥글게 찌그러진 빛 얼룩들의 주변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놀라웠다. 우주의 나이가 10억 년도 되기 전에, 갓 탄생한 별빛이 주변 우주 공간을 이온화시켰다는 징후를 확인했다. 이 격렬했던 시기에 일부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가 있었다. 국문학과 수학을 복수전공했으며 박사 학위까지 땄으나 결국 그 어느 곳에도 발붙이지 못해 유품정리사로 일하게 된 오미연이었다. 비위와 끈기, 그리고 남 말에 신경 쓰지 않는 능력은 끝내줬다.이미 이종교배가 빈번해진 시절이었다. 지극히 일상적으로 응원받는 일이었다. 정부는 ... ...
- [그래픽뉴스] 7년 만에 돌아온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지구로부터 약 1억 3000만km 떨어진 곳에 있는 소행성 ‘베누(Bennu)’의 시료 캡슐을 미국 유타주 사막까지 성공적으로 배달했다. NASA는 10월 11일(현지시간) 베누의 샘플에서 생명체 형성에 필수적인 물과 탄소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023-06381-1 연구팀은 이 화석에 ‘페루의 거인’이라는 의미를 담아 학명을 붙였다. 발견된 곳이 페루 이카주의 사막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아주 멋진 이야기예요. 13년 전, 저희 논문의 공저자이기도 한 페루 고생물학자 마리오 우르비나가 사막 퇴적층에서 뭔가 튀어나와 있는 걸 발견했죠.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개발해야 한다. 하지만 나노 세계는 일반 세계와 완전히 다른 유체역학 법칙이 작용하는 곳이다. 원하는 동작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를 작게 만드는 일조차 누구도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천 단장은 “기계를 바라보는 관점부터 제작 방식, 그리고 로봇과 세포의 상호작용까지 완전히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