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01
한 쌍씩의 신경절을 만들고 이 신경절 사이를 두 개의 신경섬유 다발이 배부의 중앙을
앞뒤
로 지나가 사다리 모양을 이룬다신경절은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밀집한 부분이며 여기서 말초신경이 뻗어 나와 온몸에 분포한다사륜구동차(四輪驅動車) 네 바퀴 모두에 회전을 전해 달리는 자동차 및 그 기구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01
혜성은 최상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밤하늘에 달이 없는 1월 10일을 기준으로
앞뒤
7일 가량이 이 혜성을 위한 최상의 날이 된다. 달빛이 있다면 엷은 혜성의 꼬리를 보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혜성은 초저녁 동쪽하늘에서 떠올라 자정 무렵 하늘 꼭대기에 떠 있다가 새벽이 되면 서쪽으로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12
존재하는 목덜미인대는 두개골 아래 부분과 목을 연결하고 있는데, 달릴 때 머리가
앞뒤
로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한편 긴 아킬레스건을 비롯해 다리의 힘줄 배치를 보면 스프링 역할을 해 매번 발을 뻗을 때마다 에너지의 절반을 비축해 다음 번에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인간의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길이의 다리 8개를 가진 이 로봇은 물에 완전히 뜨지는 않지만 다리를 노처럼 이용해
앞뒤
로 움직일 수 있다. 소금쟁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깰 만큼 무게가 나가지 않기 때문에 물에 떠 있을 수 있다. 발을 수면 아래쪽으로 밀어내면 물이 다시 밀어내는 원리로 물위를 걷는다. 세티 박사 연구팀도 이에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으로 불린다. 인간과 닮아 신기한데다 두 발로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잡고 자연스럽게
앞뒤
로 걸으려면 걷는 동작 하나하나를 미세하게 제어해야 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두 발로 걷는 로봇은 세상에 많지 않다. 대부분의 로봇은 고정돼 있거나 바퀴 또는 여러개의 다리로 움직인다. 두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10
소리는 낮은음(저주파수)에서는 특정 방향으로 지향성이 없지만 주파수가 올라가면서
앞뒤
로 잘 퍼져 나갔다. 이런 성질은 밑면의 울림 구멍을 통해 소리가 바닥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가야금의 독특한 구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대금의 경우 가야금과 달리 정면 중심에서 약간 비스듬한 방향(40-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08
걸쳐 개발된 장미의 품종은 이제 2만여종이 넘는다. 다채로운 색상은 물론 최근에는 꽃잎
앞뒤
의 색이 다른 품종까지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유전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불과 20-30종의 야생장미로부터 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파란 장미 꽃말은 ‘불가능’ 이처럼 신의 손을 가진 것 같은 장미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07
개체발생면에서 보면 신경관에 유래한다발생 초기에 낭배(囊胚)가 완성되면 배는
앞뒤
로 선장하고 배의 등 쪽에 뻗은 척색 바로 위의 외배엽(外胚葉)은 두꺼워지며 동시에 납작한 판상(板狀)의 신경판을 형성한다 플라즈마를 아주 짧은 시간에 가열하여 고온화시키면 플라즈마는 이온의 열속도 vt로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03
사이의 기둥)가 눈에 띈다. 특히 전면 유리창과 옆 유리 중간에 위치한 프런트 필러,
앞뒤
문을 연결하는 센터 필러, 뒤에 있는 리어 필러는 무식하게 느껴질 정도로 두껍다.필러와 지붕이 두꺼운 이유는 차량 전체가 12.7cm 두께의 강판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정도 두께면 각종 총기류는 물론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복제자의 사례입니다.더 실감나는 예를 들어볼까요. 10년 전까지만 해도 야구 모자의
앞뒤
를 바꿔 쓰고 다니거나 청바지를 찢어서 입고 다니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어요. 그런데 이제는 그런 풍경이 전혀 낯설지 않습니다. 모방자는 특히 아이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아이를 키우는 집치고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