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부
바깥면
표면
외면
겉
바깥
d라이브러리
"
바깥쪽
"(으)로 총 864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유전정보의 변화와 표현형
과학동아
l
201009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형태다. 사슬을 이루고 있는 당-인산 골격은 나선 구조의
바깥쪽
에 위치하고, 두 사슬의 염기들은 안쪽에 놓여 있다. 특히 두 사슬의 염기들은 서로 마주보며 수소결합에 의해 쌍을 이루고 있다. A는 항상 T와 쌍을 이루고 있으며, G는 항상 C와 쌍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A와 T,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08
오랜 인류의 역사 속에는 수많은 문명이 탄생하고 사라졌어. 문명의 지도자들은 백성을 잘 다스리기 위해 해와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땅을 나누기 위해 기하학을 발전시켰지. 이들의 흔적은 문화유산 속에 잘 남아 있어.수학으로 세운 대피라미드 세계로 가는 수학여행의 첫 번째 도착지는 이 ... ...
드라큘라성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08
외르뵈시 경시대회에서 우승해 일약 스타가 된 도형. 허풍은 도형에게 인기를 빼앗기자 헝가리를 재빨리 떠나려고 한다. 결국 허풍과 도형은 헝가리를 떠나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로 향하는데…. 루마니아에선 과연 어떤 일이 이들을 기다리고 있을까?1 자물쇠를 열어 성으로 들어가라부쿠레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08
남은 여행 일정은 유럽에서 보내려고 해. 중세를 지나 근대까지 유럽은 문화와 학문의 중심지답게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수학이 발전하면서 건축물 역시 점점 다양한 원리를 담게 됐지. 수학이 그려낸 문화유산의 매력에 빠져 보자.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담은 밀라노대성당 1386년 번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08
지천에 널린 물을 보고 신기해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사실은 과학자들이 그렇다. 물은 대단히 특이한 성질들로 가득한 신비로운 물질이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생화학자인 미국 하버드대의 로렌스 헨더슨 교수는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기이한 특징 때문”이라고 말했다. 물과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퍼지게 반사되어 얼굴이 퍼져 보인다’고 소개 되었어요. 정확하게는 볼록 거울이 빛을
바깥쪽
으로 퍼지게 반사해서 사물이 퍼져 보이지만, 크기는 실물보다 더 작게 보입니다. 한편 오목 거울은 빛이 모아지게 반사해요. 그래서 가까이 보면 실물보다 크게 ‘바른’ 모양으로, 멀리서 보면 실물보다 ... ...
알고 보면 둥근 세상
수학동아
l
201007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각속도를 바꾸기도 한다. 안쪽을 읽을 때는 각속도를 높이고,
바깥쪽
을 읽을 때는 각속도를 낮춰 일정한 시간에 그리는 호의 길이를 같게 맞추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도 원의 성질이 숨어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지 않은가?녹음과 재생 이야기- 그 후에 에밀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07
이루는 쪽의 세포벽이 두껍고
바깥쪽
은 세포벽이 얇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며 안쪽보다
바깥쪽
이 더 많이 부풀어 올라 가운데 기공이 열리는 메커니즘이 일어난다. 이렇게 기공이 열리면 기체가 출입하고 증산작용도 일어난다. 이때 기공을 통해 CO2 흡수와 함께 수증기 증발도 일어나기 때문에, 잎은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이때에도 범람원이 충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그
바깥쪽
에 둑을 세워야 한다.하지만 도시가 아닌 지역을 흐르는 하천의 경우에는 기존의 강줄기를 잘 유지하기만 해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천대나 회룡포 마을은 모래톱이 살아 있는 물줄기를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06
나눈 뒤 각각의 넓이를 더해서 구하는 방법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합니다. 정육각형과
바깥쪽
원의 넓이에는 좀 차이가 있지만 변의 개수를 늘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각형의 변이 늘어날수록 원과 비슷해지면서 넓이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변의 개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넓이도 원과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