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부
바깥면
표면
외면
겉
바깥
d라이브러리
"
바깥쪽
"(으)로 총 86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02
senilis)의 애벌레는 나뭇가지처럼 보이기위해 나무줄기 위에서 잔가지가 뻗어나간 듯이
바깥쪽
을 향해 붙어 있다. 다른 종류의 나비목 애벌레들이 이동하기 위해 5쌍의 다리(헛발, 배다리)를 갖고 있지만 이 애벌레는 몸을 고정하기 위한 2쌍뿐이다. 원통형의 길고 날씬한 몸매 때문에 더욱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01
상태인 극저온에서는 네 원자의 스핀 가운데 둘은 4면체의 안쪽(중심)으로 향하고 둘은
바깥쪽
을 향한다. 이 같은 스핀의 정렬은 얼음 결정에서 물 분자의 수소 원자 배치와 비슷하다. 이런 종류의 물질을 ‘스핀 아이스’라고 부르는 이유다.2008년 1월 과학저널 ‘네이처’에는 영국과 독일, 미국의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5
“아휴~, 덥다 더워!”우리 집 에어컨은 몇 년째 잠자고 있어. 전기 에너지를 아껴야 한다는 우리 엄마, 직장의 에어컨 바람에 냉방병을 달고 사시는 아빠 때문이야. 하지만 이렇게 더운데 나도 살 궁리를 해야겠어! 에너지도 절약하고 시원하게 여름을 보내는 좋은 방법은 없을까? 내가 직접 나서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대칭과 비대칭, 그 둘이 하나가 되는 곳. 저주가 풀린 공주는 그 곳에서 너를 기다리리. 마법의 새 ‘모모’를 따라 떠나라.’ 며칠 전 창문가로 날아온 새의 발목에 묶여 있던 편지에 이런 글이 적혀 있었어. 대칭 나라 공주님께 저주를 건 못된 비대칭 마녀가 보낸 편지였지! 나는 그 길로 공주님을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12
배열된다. 물 표면에서는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물 안쪽을 향하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이
바깥쪽
을 향한다.물에서 비누의 배열은 와 같다. 비눗물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비누가 물에 녹아 무수히 많은 미셀을 형성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비누는 이러한 구조로 인해 물과 기름을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12
위성들이 형성됐다. 그리고 남은 미행성들 중에서 대부분은 행성들의 섭동으로 해왕성
바깥쪽
으로 밀려나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을 이루고 있다. 이 미행성이 태양 가까이 지나면 긴 꼬리를 내는 혜성으로 나타난다. 최근 행성계에서 퇴출된 명왕성은 카이퍼벨트에 들어있던 큰 미행성으로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12
바다에 나갔던 어민이 그물에서 항아리 조각을 하나 발견했다. 은은하고 신비스러운 푸른빛과 섬세한 문양이 심상치 않아 신고해 보니 고려청자란다.전문가가 수중장비를 동원해 현장을 찾아갔다. 그곳에는 보물선이 깊은 잠에서 깨려는 듯꿈틀대고 있었다. 800년 전 이 바다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11
얼마 전 믿기지 않는 일이 영국에서 일어났다. 흑인 부부가 백인 아기를 낳은 것이다(동아일보 2010년 7월 21일자). 부모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흑인이다. 5년 전에 영국으로 건너와 이미 2명의 흑인 아이를 낳아서 기르고 있었다. 그런데 3번째로 낳은 아이가 뉴스에 나온 백인 아이다. 부모는 자식의 이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11
'배추 값이 금(金) 값'이라며 호들갑을 피우던 게 불과 10월 초순이다. 여름철 이상기후로 채소 값이 폭등했기 때문이다. 시장이나 할인마트에선 “올 겨울엔 김장도 못 담그게 생겼다”며 혀를 끌끌 차는 주부들을 어렵잖게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우리 김치재료 시장이 그리 호 ... ...
별들의 세계도 약육강식
과학동아
l
201010
설명했다.별은 나이가 들어 핵융합 반응에 쓸 연료가 떨어지면 크기가 팽창하면서
바깥쪽
층이 떨어져 나온다. 태양도 적색거성이 되면 지구를 삼켜 버릴 정도로 커질 가능성이 크다.카스트너 교수는 “별이 다른 별이나 행성을 삼키는 구체적인 과정은 현대 천체물리학의 중요한 주제”라며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