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해류를 이용하라해양쓰레기는 해류를 따라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런데 이 단점을 반대로 이용해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있어요. 바로 네덜란드의 17세 청년인 보이얀 슬랫이 그 주인공이랍니다.보이얀 슬랫은 바닷물이 흐르는 규칙을 찾으 ... ...
[과학뉴스] 방귀를 연료로 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소나 염소 같이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들이 방귀와 트림으로 내뿜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대표적인 온실가스 중 하나예요. 그런데 최 ... 비율을 52%까지 올리는 데 성공했지요.백무현 교수는 “메탄가스로 석유를 대체하면 친
환경
적인 연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열이 금세 식어서 기온이 0℃에 가깝게 떨어지지요. 사막에 사는 동물들은 이런 극한
환경
에서 살아남기 위해 각자의 생존전략을 가지고 있어요.특히 사막의 귀염둥이 사막여우는 다른 지역에 사는 여우와 달리 눈에 띠는 특징이 있어요. 바로 얇고 커다란 귀예요. 사막여우의 커다란 귀에는 아주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범위가 다르고, 또 소리의 방향을 구별하는 방법이 다른 이유는 자기 몸집과 생김새,
환경
에 따라 진화한 결과입니다. 우리 귀에는 시끄럽기만 한 울음소리도 매미들에게는 분명히 아름답고 로맨틱한 세레나데처럼 들릴 거예요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항상 유지해야 한다. 가오리로봇을 실제로 응용하려면 자연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에서 움직여야 한다. 로봇의 인공근육과 소프트로봇을 연구하고 있는 최혁렬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실제 동물처럼 스스로 에너지원을 섭취해서 움직이는 게 아니기 때문에 동력원 문제를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진행 중이다.박숭현(shpark314@kopri.re.kr)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지구
환경
과학부 대학원에서 중앙해령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지구및행성과학과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극지연구소에서 남극 중앙해령 탐사를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거북이 살던 지역에 건물과 농장이 들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의
환경
전문 변호사 블레이크 허드슨에 따르면, 고퍼육지거북의 서식지가 줄면서 19세기 이후 개체수가 약 80% 감소했다. 이들의 땅굴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동물 360여 종까지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물론이다.서식지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때문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거였어. 앞으로 우리 흥부자는 제비들이 잘 살 수 있는
환경
을 가꾸기 위해 노력할거야. 뭐 꼭 박씨 때문은 아니고…, 흠흠….아 참! 에서도 ‘지구사랑탐사대’를 통해 올해부터 제비 탐사를 시작한다며? 친구들도 지사탐을 통해 우리처럼 제비에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백열등은 600㎚ 이상으로 빛의 파장이 각각 한쪽으로만 치우쳐 있기 때문이에요. 이런
환경
에서는 식물들이 활발하게 광합성을 하지 못하지요. 그래서 집이나 사무실 같은 실내에서는 적은 빛으로도 광합성을 잘 하며 살아가는 고무나무와 관음죽, 팔손이, 베고니아 같은 식물을 키우는 것이 ... ...
[과학뉴스] 피우는 비타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들어 볼까요. 2012년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 증기의 유해성을 연구한 신호상 공주대
환경
교육학과 교수는 “액상에 든 것보다 증기에서 최대 100배 더 많은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됐다”며 “가열 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과학동아 2015년 1월호). 액상 비타민도 가열하는 과정에서 어떤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