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Helper Application)이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퀵타임(QuickTime)형식의
영화
(동화상)를 보려면 퀵타임 무비 플레이어(QuickTime Movie Player)를 별도의 윈도로 실행시켜 보아야 하지만, 플러그인은 현재 보고 있는 HTML문서의 내부에서 동화상이 마치 문서의 일부분처럼 돌아간다. 네트스케이프와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분출된 물질들이 응집돼 좀더 짙은 구름을 만든다. 그래서 성운 한가운데는 전쟁
영화
의 공중폭파 장면을 연상케 하고 있다. 크기 드러낸 최초의 별태양을 제외한 모든 별들은 지구에서 볼 때 그저 점에 불과하다. 그래서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별 사진을 본다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자신이 배우가 되어 대사를 녹음해 들을 수도 있다. 직접 현지에 갈 수 없는 사람들에게
영화
는 그 나라 문화와 생활양식을 그대로 보여줘 듣기 교육에는 최고의 교과서다.이외에도 '영어로 배우는 동시낭송'(위화면), 교육방송의 영어강사가 직접 등장하는 '크리스틴의 어린이 영어' 도 있다.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고 생각하면 좋겠다. 과학이 지겨운 사람들도 SF
영화
는 재미있게 본다. 그 이유는 SF
영화
가 잠자고 있는 과학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이다.이번에 교육부의 검인정을 통과한 공통과학 교과서는 모두 7종이다. 이들은 과학적 상상력과 재미를 이끌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많은 ...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단순한 눈요깃거리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어떠한 상상도
영화
를 통해 그대로 실현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우리의 상상 또한 더욱 풍성해지기를 기대한다 ... ...
공룡부활에 가려진 카오스 이론 쥬라기 공원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야기는 관객들을 어리둥절하게 할 뿐, 쥬라기 공원과는 별 상관없게만 느껴진다.대신
영화
는 진짜처럼 살아 움직이는 공룡들을 스크린 위에 보란 듯이 올려놓음으로써 과학적 논의들을 무색하게 만들었고 벨로시랩터들의 공격으로 걷잡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린 쥬라기 공원의 최후 장면은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발표됐다. 쌍방향이란 말 그대로 기계와 사용자가 서로 대화를 한다는 뜻인데, 이를테면
영화
를 보더라도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각자의 시나리오를 펼칠 수 있다.MPEG 비디오 압축 표준을 채택하고 있는 CD-I는 CD롬보다 한발 앞선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CD-I는 CPU 외에도 비디오 압축의 표준인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혼합해 다른 색을 만들 수도 있다.▲색깔을 갖고 싶어 : 색깔을 주제로 한 14분짜리 만화
영화
에서는 자연색과 인공색의 차이를 가르쳐준다. 10개의 장면에 30여가지 반응을 숨겨놓아 아이들의 연상작용을 돕는다. 마우스를 눌러 계절에 따른 색깔의 변화도 들춰볼 수 있다.▲ 크레욜라 어메이징 아트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 과연 올해도 그 자리를 고수할 수 있을까 하는 관심 때문이다. 도스 시대의 패왕으로
영화
를 누려온 아래아한글은, 그것이 비록 특정 기업의 상품일지라도, 소프트웨어가 곧 경쟁무기인 정보화시대에서 국민적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잠시 외도를 결행한 바 있는 작년 몇 달을 제외하고는 그동안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평가받고 있다.반면에 ‘신체 강탈자의 침입’ 을 비롯한 외계인과의 투쟁을 그린
영화
들은 외계 이방인에 대한 불안과 공포의 심리가 피해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그런데 지적인 외계 생명체는 과연 존재할까. 사실 이 점에 대해선 아직도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