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낮고 상대습도가 높아 입자들이 수증기를 강하게 끌어당기면서 얼음구름이 생성된다고
분석
했다. 연구팀은 상자 속에 약 6km 높이의 대기 환경을 조성했고,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을 만큼 작은 ‘고령석(kaolinite)’ 입자가 어는 과정을 3초에 한번씩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영상으로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불어 닥친 상황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 건물에 부착한 각종 센서 신호와 영상을
분석
해서 연구할 수 있다.와우를 운영하는 플로리다국제대 국제허리케인연구센터는 향후 건축물과 건축 재료를 만들 때, 대형풍동실험장치가 안전성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민감도와 신뢰성”이라며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면역
분석
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민감도 높은 미세유체칩을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상용화까지 15년… 첨단센서 꽃피려면?첨단센서는 4차산업의 핵심기술로 꼽힌다. 하지만 국내 첨단센서 시장은 걸음마 단계다.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上 거인신이 남긴 선물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이름을 지었지만 그다지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그와 별개로 1795년 독일의
분석
화학자인 마르틴 클라프로트가 금홍석(위 사진)에서 이 원소를 발견하고 거인신족 '티탄'의 이름을 따서 티타늄이라고 불렀다.티타늄은 지각에서 아홉 번째로 많은 원소(5600ppm, ppm은 1kg 속에 1mg 들어있다는 뜻)다. 하지만 ... ...
Intro. 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연말 경기도 포천에서 길고양이가 죽은 채 발견됐다. 사인을
분석
한 결과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일각에서는 2009년에 대유행(판데믹)했던 신종플루처럼, AI 바이러스가 돼지나 고양이 같은 중간 숙주를 거치며 변이해 사람에게도 전염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중재’를 어느 시기에 해야 인플루엔자 전염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지
분석
할 수 있다.연구팀은 비약물적 중재에 대해 시뮬레이션 했다. 그 결과 어느 지역에서 바이러스가 처음 발생하느냐에 따라 확산 양상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각 방법을 쓸 때마다 인플루엔자 확산이 얼마나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사업 모델을 제안한 기업도 있다. 미국의 유전체해독장비업체인 일루미나는 유전정보
분석
업체인 헬릭스를 설립하고, 병원에 갈 필요 없이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볼 수 있는 ‘DNA 앱 스토어’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2011년만 해도 자신의 유전자를 해독하는 데 드는 비용은 10만 ... ...
Intro. 인공신경망 번역 수학이 다 알아서 한다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여러 가지 언어를 자유자재로 번역하는 인공지능의 눈에는 언어가 어떻게 보일까?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신경망 번역은 단어나 문장을 공간 속의 점으로 인식한다. 인공신경망의 눈에는 언어가 우주 공간 속 별무리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 수학적인 공간이 어떻게 다시 우리가 원하는 언 ... ...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구글 번역은 믿지 못할 물건이었다. “게임을 하다, 재밌게”처럼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단어별로 번역하거나 먹는 배를 “boat”로 옮기는 경우도 허다했다.그러던 번역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인공신경망을 탑재하더니 실력이 부쩍 늘었다. 인공신경망 번역이 뭐기에 순식간에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외계인과 대화한다. 바벨피쉬는 난생 처음 듣는 외계어도 통역한다. 황영숙 SKPlanet 데이터
분석
본부 매니저는 “지금 바벨피쉬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처음 듣는 언어라면 학습데이터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인공신경망은 소량이라도 학습데이터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