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나온다”고 말했다.그가 다양한 향료의 성분을
분석
한 그래프를 보여줬다. 다른 향을
분석
한 그래프는 비교적 단순했는데, 바닐라 향의 그래프는 한눈에 보기에도 몹시 복잡했다. 오 대표는 “함량이 적은 성분은 일일이 합성해 섞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제품에 따라서는 인공이나, 천연과 동일한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시스템이 활성화되었다!나. 정체불명의 거대 질량체가 궤도 스테이션 주변에 출현했다!-
분석
:가. 탐사팀이 최근 스캔한 외계 종족의 문건에 중요한 기밀이 담겨 있음나. 자체 방어 시스템 활성화 및 정체불명의 거대 질량체 접근은 이와 관련됨* 수정된 퀘스트 목표1. 궤도 스테이션이 중앙 서버로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분리주를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
하면 앞으로 유행할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백신을 만드는 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모든 인플루엔자 다 잡는 ‘범용 백신’국내외 과학자들은 모든 아형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범용 ... ...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구글 번역은 믿지 못할 물건이었다. “게임을 하다, 재밌게”처럼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단어별로 번역하거나 먹는 배를 “boat”로 옮기는 경우도 허다했다.그러던 번역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인공신경망을 탑재하더니 실력이 부쩍 늘었다. 인공신경망 번역이 뭐기에 순식간에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외계인과 대화한다. 바벨피쉬는 난생 처음 듣는 외계어도 통역한다. 황영숙 SKPlanet 데이터
분석
본부 매니저는 “지금 바벨피쉬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처음 듣는 언어라면 학습데이터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인공신경망은 소량이라도 학습데이터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의과대학교 잰 비그 교수팀은 전세계 40여 개국 사람들의 인구 통계와 사망 기록 등을
분석
했어요. 그 결과 인간의 평균 수명은 계속 늘다가 1990년대에 멈추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이러한 추세로 봤을 때 약이나 의학기술의 도움 없이 자연적으로 살 수 있는 최대 나이는 115세라는 결론을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바이오헬스 기업이에요. 칼리코의 과학자들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혈액이나 분비물을
분석
하고 있어요. 어떤 물질이 암세포가 생기는 걸 막는지, 또 오래 살 수 있게 해 주는지 등을 살펴보고 있지요.벌거숭이두더지쥐의 비밀이 밝혀지면 인간의 수명을 더 늘릴 수 있겠죠? 친구들,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특성이 있으며, 공기 분리에 사용되는 기존 흡착제보다 질소 흡착량이 29% 이상 높다고
분석
했다. 연구팀은 이 소재를 이용하면 효율이 커진 만큼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 사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장종산 한국화학연구원 CCP융합연구단 연구원은 “이 소재로 ... ...
[과학뉴스] 왜 낯선 침팬지 냄새가 더 좋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국립공원에서 다 자란 침팬지 약 150마리의 DNA를 채취해 개체들 간의 유전적 유사성을
분석
한 뒤 교배 행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수컷 침팬지들은 국립공원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즉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침팬지보다는 이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침팬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낮고 상대습도가 높아 입자들이 수증기를 강하게 끌어당기면서 얼음구름이 생성된다고
분석
했다. 연구팀은 상자 속에 약 6km 높이의 대기 환경을 조성했고,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을 만큼 작은 ‘고령석(kaolinite)’ 입자가 어는 과정을 3초에 한번씩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영상으로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