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에 녹여 쓰는 인공적혈구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추출한달지, 알부민 제제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적혈구 성분만은 지금까지
별
이용방법이 없어 폐기되는 일이 많았다.적혈구는 가운데가 움푹 패인 원반형 주머니같은 얇은 껍질 속에 헤모글로빈이 가득찬 구조를 하고 있다. 이 껍질에는 바이러스 등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고 혈액형도 ... ...
다비의 불길 속에서 태어나는 사리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봉안될 예정이다.몸에서 가장 흔한 무기물은 칼슘사리는 법력의 상징인가, 혹은
별
뜻없는 무기물 덩어리에 불과한가. 사리의 정체는 무엇일까. 사실 사리에 대한 어떠한 화학분석도 이루어진 적이 없으므로 과학적인 판단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의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리를 몸에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바클로. 그는 하마가 물 위와 아래에서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 소리를 동시에 내는
별
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했다. 즉 물 위에서는 콧구멍으로 소리를 전달하고 수면 하의 소리는 머리와 목의 조직을 통해 나온다는 것. 또 수면 아래의 소리는 귀 대신 턱뼈로 듣는다고 말했다 ...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않을 경우에 대한 규정이다. 즉 PC를 사용할 때는 절전형 PC나 일반 PC의 전력소비와
별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절전형 PC의 절전효과는 PC를 켜둔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효과가 큰 것이다.이러한 컴퓨터가 갖는 절전효과는 PC사용 습관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절전형 PC의 절전효과는 PC를 얼마만큼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우주의 구조는 에우독수스가 생각하는 기하학적인 천구가 아니라 물체라고 생각했다. 즉
별
이 붙어있다고 생각한 항성천구는 우주의 가장 바깥에 위치해 날마다 행성들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안쪽의 천구에 운동을 전해 회전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즉, 바깥쪽의 천체인 토성은 항성천의 ... ...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과의 거리는 4.249광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까지의 거리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정밀 측정됐다. 이
별
은 11등급의
별
로 과거 이
별
까지의 거리는 4.22±0.02 광년으로 측정됐었다.허블망원경은 92년 3월 이래 12회 이상의 관측을 실시해 정확한 거리가 4.249±0.003광년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관측결과는 지금까지의 관측정밀도를 일거에 10배 이상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값이다.그러므로 이날 태양(적경 17시 16분)이 남중했을 때 태양시로는 12시이고, 태양을
별
로 간주했을 때 항성시는 17시 16분이다. 즉 이날은 항성시가 태양시보다 5시간16분 느린 값이다.오리온대성운(M42)의 적경은 5시33분이다. 항성시로 5시33분이 되면 오리온대성운은 남중하는 것이다. 이날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것이라는 간접적인 증거는 있지만, 아직 그러한 행성은 보이지 않는다. 오리온 자리에서
별
이 만들어지는 곳이 새로이 발견됨으로써 수많은 항성과 행성이 새로이 발견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언젠가는 또다른 지구를 발견할지도 모를 일이다."New discoveries in Orion!" A familiar astronomical headline th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실감할 수 있는 수치다.중력파를 검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확은 블랙홀이나 중성자
별
, 또는 빅뱅의 내부 정보뿐만이 아니다. "진정한 성과는 현재 우리가 모르고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정보는 전자파에 의해 얻은 것일 뿐이다. 중력파가 인류 앞에 모습을 드러낼 때는 지금까지는 꿈도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너무 짧아서 천체의 세밀한 부분을 표현할 수 없다. 또한 집광력이 작으므로 어두운
별
을 찍기 위해서는 긴 노출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망원경의 대물렌즈 또는 반사경을 카메라와 조합시켜 촬영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그림).지금까지 천체사진 촬영에 대한 기초적인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