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윈도즈용 프로그램 베스트 15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정지, 빠르게 앞으로, 빠르게 뒤로 등의 기본기능 뿐만 아니라 곡을 바로 선곡하는 번호
별
선곡기능, 연주 시간 표시 기능등이 제공되며, CD를 꺼낼 수 있는 이젝트 기능까지 제공된다.또한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일단 음악을 틀어 놓으면 강제로 스톱시킬 때까지는 독립적으로 실행이 되기 때문에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일요일 4시 서강대학교 RA관 앞 벤치에서의 만남으로
별
빛 동호회의 모임은 시작된다.■
별
과 사람들일반인들을 위한 아마추어 천문 모임. 이 모임에서는 천체 관측의 기본부터 천체 사진촬영까지 아마추어 천문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각자의 의지에 따라 배울 수 있다. 함께 망원경을 구입하여 함께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값이다.그리스의 히파르쿠스(190-120 B.C.)는 1천80개의
별
에 대한 위치와 광도를 분류하고,
별
의 위치 연구로 세차운동(歲差運動)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달 크기와 거리를 결정한 아리스타르쿠스의 작업도 이어 받아 두 개의 다른 경위도에서 달의 고도를 관측해 (그림4)와 같이 달의 거리는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생활권의 연장에 불과하며 우주 공간에 인공위성을 띠우고 그 속에서 생활하는 것과
별
반 다를 바가 없다고 하겠다.이런 구도와는 달리 만약 인류가 제2의 안식처로서 화성 식민지화를 도모한다면 어떨까. 그것은 먼저 화성의 자연 조건을 지구와 유사하게 가꾸는 일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모습을 드러내면 사자자리는 어느 정도 포효하는 사자의 모양을 갖추지만, 처녀자리는
별
모양 없이 2,3등성이 산재해 있는 모습밖에 찾을 수 없다. 시골의 밤하늘이거나 투명도가 아주 좋은 서울의 하늘이라면 오히려 스피카 밑에 위치하는 사각형 모양의 작은 까마귀자리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을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오리온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동쪽에 나타난 사자자리는 화려한 겨울철의
별
자리들이 물러난 동쪽하늘을 레굴루스를 앞세워 평정하여 독야청청하는 느낌이다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관측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많은 과학자들도 이와 같이 생각하며 이를
별
로 관심 있게 보지 않았다.그러나 미국 천문학자 에디는 흑점의 출현과 오로라가 관련이 있음에 착안해 1645년에서 1715년에 이르기까지 오로라의 출현 횟수를 문헌 등을 이용해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시기에는 ... ...
3월 국내 첫 아마추어 천문대 오픈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중심으로 하되 때에 따라서는 평일도 가능하다. 방학때는 연구원들이 계속 상주하면서 특
별
프로그램도 진행할 계획이다. 천문대 사용신청은 최소 15일 전에 해야 한다.진천 천문대의 연구원들은 책임(2명) 선임(3명) 일반연구원들(10여명)로 나누어 자체 연구활동 계획과 교육 프로그램을 짜고 있다. ... ...
하늘에 떠있는
별
들의 절반은 짝
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성도상의 위치와 몇번의 대조 끝에 이
별
들을 확인하고 배율을 높였을 때 고물자리의
별
은 쉽게 분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리마의 경우 1988년 처음 볼 당시는 분해에 성공했지만 1993년에 다시 관측했을 때는 잘 분해되지 않았다. 이유는 분리각이 작아졌기 때문이다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방패연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방패연은 가운데 방구멍이 뚷린 것으로 다른 나라의 연과 구
별
된다. 방패연은 날리는 사람의 기술에 따라 상하 좌우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어 연싸운(연실 끊기)에 탁월할 뿐만 아니라 바람의 변화에 잘 적응해 높이 올리기에도 유리하고 기동성이 뛰어나다. 방패연의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