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79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탐사 패러다임 바뀐다] 기업과 팔짱 끼고 달 찍고 화성으로(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NASA는 달에 간다고 해서는 안된다”며 “그들은 화성과 국방, 과학을 포함하는 더
큰
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당시 해석이 분분했으나 현재는 미국의 궁극적인 목표가 유인 화성 탐사라는 것을 트럼프 대통령이 확실히 했다는 데 힘이 실린다. NASA는 2033년에는 화성에 우주인을 ... ...
"北 HIV 청정국 주장 불구 실제론 8000명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많고 성매매를 통한 감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 기증을 통한 감염이
큰
것은 자칫 대량 전파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북한은 HIV 감염자가 늘고 있다는 사실을 더 이상 숨기지 않기로 했다고 사이언스는 북한 보건당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이 관계자는 “보통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장내미생물 연구가 붐을 이루면서 천연물이나 약의 효과와 부작용에 장내미생물 역시
큰
역할을 하는 예들이 밝혀지고 있다. 홍삼의 경우가 예외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물론 장내미생물이 약의 흡수에 긍정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은 아니다. 약을 대사해 약효를 떨어드리거나 독성 물질로 ... ...
정부의 초기 투자, 스페이스X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시장의 예로 꼽았다. 앤더슨 대표는 “정부는 경제적 이익이 아직 없는 새로운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한다”며 “경제적 이익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민간이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다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분석하는 학자들. South Tyrol Museum of Archaeology/EURAC/Samadelli/Staschitz 제공 고고학자들의 가장
큰
의문은 외치가 왜 알프스의 험한 빙하 골짜기에서 발견되었느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한동안은 외치가 발을 헛디뎌 떨어졌다는 설이 유력했는데, 위장에 아직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내포된 단어들을 대체할 때가 됐다. 실험실 테크니션의 문제는 한국 과학기술계의
큰
난제이기도 하다. 이들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며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푸대접은 실험실의 효율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으로 부른다면, ... ...
DGIST에 도대체 무슨일이…전임 총장들부터 IBS연구단까지 비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단장에 대한 감사는 모두 이미 지난해~올해 연초 진행된 일로 뜻밖의 사건이 아닌 만큼
큰
혼란은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국 총장이 취임하면서 시끄럽고 길던 내홍의 과거를 청산하고 미래로 나아가겠다는 목표를 밝혔고 4월에는 과기특성화대 가운데 세 번째로 비정규직 연구직과 행정기술직의 ... ...
얼음거품 속 휘날리는 눈꽃,'와인의 눈물'과 같은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눈물'이 대표적이다. 와인 속 알코올이 잔 표면에서 증발하며 상대적으로 표면장력이
큰
물만 남아 마랑고니 효과로 인해 모이며 물방울이 커져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이다. 거품에서는 얼음으로 인해 거품 내부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며 표면장력의 차이가 발생한다. 여기서 생기는 힘으로 얼음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프로젝트가 아닌 소형 발사체와 큐브샛 등 민간 기업 중심의 접근이 우주산업을 훨씬
큰
잠재력이 있는 분야로 만들고 있다. 기존 우주선진국과는 다른 접근전략으로 우주 개발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는 국가들도 두각을 나타낸다. 아랍에미리트(UAE)나 이스라엘, 룩셈부르크 등이 대표적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아몬드에만 해당된다. 작명을 할 때 씨의 쓴맛이 없는 게 다른 벚나무속 식물과 가장
큰
차이라는 걸 강조하다 보니 비터 아몬드의 존재를 깜빡 한 것일까. 물론 비터 아몬드의 학명도 같다 그런데 아몬드의 원산지는 이란 지역이다. 따라서 원산지를 부각해 학명을 짓는다면 복숭아의 학명(Prunus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