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자신의 연구 논문을 심사받게 해달라고 자청했다. 결국 네이처가 추가로 선정한
전문가
들이 그의 논문을 격찬함으로써 승리의 여신은 그의 편이 됐다.하지만 서교수가 네이처와의 싸움을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됐을까. 어쩌면 생물학의 역사를 새로 쓸 새로운 이론이 사람들 앞에 모습도 ... ...
얌체 소유권 주장하는 개발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이미 특허료를 지불한 회사의 컴포넌트를 이용한다면 역시 큰 지장이 없다는 것이 특허
전문가
들의 견해다. 라이센스료를 이중 착취당하지 않기 위한 ‘소진이론’이 특허 제도의 근간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세 차액을 노리는 듯한 이들의 작전이 결코 소비자에게 이로울 리는 만무하다. ... ...
세계사를 바꾼 날씨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가뭄으로 아프리카는 점점 더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이 돼가고 있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
들은 ‘앞으로 지구촌의 가장 큰 문제는 날씨가 될 것이다’고 단언한다.날씨는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국가 경제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 이번달에는 생활 속의 날씨에 관한 기초지식과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우주엘리베이터 10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야심차게 말한다.하지만 또다른 NASA의
전문가
들은 적어도 50년은 지나야 첫 우주엘리베이터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여기서 우주엘리베이터를 소설 속에 등장시킨 SF거장 아서 클라크의 말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모든 사람이 비웃기를 멈추고 ... ...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 둘은 석유와 달리 재생산될 수 있이 더 유용한 자원”이라고 말했다.인공씨감자
전문가
에서 자생식물이용기술사업단의 지휘자로 변신한 정 단장은 처음의딱딱해 보이는 모습과는 달리 연구분야를 설명해 주면서 시종일관 웃음을 잃지 않았다. 자신이 하는 일을 진정 좋아하는 사람에게서만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등 국내외 연구진의 도움을 받았다.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어려운 난제를 풀기 위해서
전문가
들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연구가 효율적이며, 앞으로 더욱 중요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과학분야에서는 경쟁만 앞세우기보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를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통로를 잘 이용하면 ... ...
공학적 직관과 응용의 조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용공학의 신호처리와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들을 배운다. 더불어 각 분야의
전문가
를 초청해 의용공학에 필요한 기본적 의학내용을 배운다. 즉 의용공학의 기본적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배우고, 나아가 수강생이 바로 연구를 시작할 수 있는 학문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쌓아주며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계기로 교사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이 마련되기를 원했다. 어떤 교사는 지질 탐사가
전문가
들의 관심이 아니라 대중적으로 호감을 얻기 위해 지질관광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얘기했다.마지막 5일째 오전 구미의 금오산을 방문했다. 금오산은 화산암 으로 돼 있는데, 경상분지 내에서 화산활동으로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하물며 직접 탈 때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이란 말할 필요도 없다.인라인 스케이트
전문가
들에 따르면 운동신경이 아무리 둔한 사람이라도 한달 정도만 연습하면 기본은 마치고 즐겁게 탈 수 있다고 한다. 어떻게 하면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신바람 나게 달릴 수 있을까.보통 스케이트라고 하면 얼음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뺨 부위가 하얗게 그려진 점을 보고 첫눈에 백반증을 의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미술관
전문가
는 초상화의 이 부분을 오랜 세월 탓에 탈색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흥미를 느낀 이교수는 초상화를 자세히 분석한 결과, 탈색이 아니라 백반증의 흔적이라는 결론을 얻어냈다. 이교수는 “이마 부위의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