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철 참사 부른 유독가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화재가 이렇게 큰 희생자를 낸 이유에 대해서는 현재 여러가지 원인이 분석되고 있으나,
전문가
들은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한 유독가스 중독에 의해 희생자 대부분이 숨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1백만 분자 중 시안화수소 1백50개만 있어도 사망보통 전동차 내부는 벽과 천장을 둘러싼 내장판과 바닥,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인간'을 대리자라 한다 대리자는 인공생명의 중요한 한 형태로 기기 사용에 익숙한
전문가
나 비서의 일을 대행한다 대리자는 컴퓨터의 방대한 저장 계산 및 통신 능력을 활용해 인간 비서보다도 더욱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신경세포들 사이에는 5만분의 1mm 정도의 작은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발생과정을 감당할 만큼 제대로 발현된 경우는 1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국내 복제
전문가
들은 그동안 국내 동물복제는 기초연구보다는 결과물을 내는데 급급한 면이 없지 않다는데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기초연구는 가능한 완벽한 복제기술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아예 복제와 같이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놈은 명백하게 지구의 두번째 달은 아니지만, ‘달’ 흉내를 내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전문가
들의 계산에 따르면 2002 AA29는 서기 550년에서 600년 사이에 이미 준위성 상태에 있었다고 한다. 물론 이 소행성이 너무 작아서 당시에는 아무도 보지 못했겠지만 말이다. 2002 AA29는 태양을 공전하지만,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선호하도록 만든 달콤한 유전자는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게
전문가
들의 의견이다.지난 2001년에는 이 달콤한 유전자의 정체가 좀더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미 뉴욕대 마운트 시나이 의대의 로버트 마골스키 교수팀은 우리 혀에 단맛을 가려낼 수 있는 수용체를 만드는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말이다.최근에는 복제인간이 일란성 쌍둥이에 비해 외모나 성격면에서 덜 닮은 꼴이라는
전문가
의 지적도 나왔다. 미 캔자스주 허친슨에 살고 있는 열살짜리 일란성 쌍둥이 자매 홀리와 노엘을 보자. 두 쌍둥이는 얼굴만 보면 찍어낸 듯 똑같아 학교 교사들조차 헷갈리기 일쑤라고 한다. 그러나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때문에 사회학자나 인터넷
전문가
들은 사회, 세포, 인터넷 등 충분히 복잡한 네트워크는 무작위적 네트워크로 설명되리라고 굳게 믿어왔다. 3-4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최근에야 실제 네트워크와 모형 비교네트워크가 막연히 무작위적이라고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기계장치와 생물체가 결합한 사이보그인 더미가 등장할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나
전문가
들은 미래의 더미들이 컴퓨터 속 사이버스페이스로 자리를 옮겨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컴퓨터 속의 충돌시험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더욱이 시험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더 정확히 현실을 반영하는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는 것이다. 생명과학 관련 법률에는 학문의 속성상 모라토리엄 규정이 많은 편이란게
전문가
들의 의견이다. 생명과학의 발전속도가 워낙 빠르고 현재로는 안전성의 문제와 의학적 유용성의 문제가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과학기술상의 발전추이를 지켜보자는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글씨가 잘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없어지기 때문.추리소설 작가이자 과학수사
전문가
인 데이비드 피셔의 과학수사 지침서 ‘확실한 증거’(1996)에 따르면, 과학수사에 사용되는 기본원칙 가운데 하나는 어떤 물체가 눈으로 보이지 않을 때는 빛을 비추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그것이 보이게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