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심각한 바다 오염을 일으키고 있지요. 앞으로 바다오염을 줄이지 않는다면 바다는
결국
정화능력을 잃고 말 것입니다.자연을 보전하는 것만이 바다 생물과 사람이 함께 긴 태평성대를 누리는 길이라는 걸 모두 알아야 할 터인데…. 안 되겠구려! 이번 일을 계기로 생활 속에서 바다를 지킬 수 있는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B로 암호화한 것이다.일본의 퍼플 암호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암호는 눈부시게 발전했고
결국
일본은 최고난도의 암호기계인 퍼플을 만들었다. 기계의 몸체가 보라색이라 이름 붙여진 퍼플은 그 어떤 암호기계보다도 성능이 뛰어났다. 그러나 미국의 암호전문가가 퍼플의 모조품을 제작하고 ... ...
수학을 파는 자동판매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기준은 경제적인 합리성에 따라 경제원칙을 지키는 것이겠죠.
결국
해결책은 소비자가 넣은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원하는 물건이 나오는 것입니다.이기송 박사는 1991년 KB국민은행연구소에 입사한 뒤 현재 금융교육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MBC ‘뽀뽀뽀 아이조아’에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문장은 진실이되어야 한다. 뒷면의 문장이 진실이려면 앞면의 문장이 거짓이어야 한다.
결국
앞면의 문장이 참이라는 가정과 모순을 이룬다. 앞면의 문장이 처음부터 거짓이라면, 뒷면의 문장은 거짓이 되고 그러면 다시 앞면의 문장이 참이어야 한다. 이 또한 모순이다. 크레타인의 역설은 역설이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커지지만, 만유인력은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습니다.
결국
‘존경의 법칙’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완벽히 패러디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사람의 심리를 이렇게 수학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니 신기하네요.지구와 달의 인력 중심은?첫 번째 질문 - 포탄을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어난 자리는 단백질이 작용을 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리로 추정됐다.
결국
이 돌연변이로 인해 사람의 FOXP2는 새로운 기능을 갖게 됐고 그 결과 사람 태아의 뇌조직은 독특한 회로를 갖추게 됐음을 의미한다.이 결과가 발표되자 흥미로운 카툰이 많이 나왔다. 예를 들면 한 사람이 돼지를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우거진 곳은 물고기들이 숨어서 살 수 있는 공간이며, 동시에 먹잇감을 구하는 사냥터다.
결국
산호초 섬은 마치 천국의 일부가 바다 위로 떨어진 듯 한없이 고요하고 평화로워 보여 ‘가고 싶은 신혼여행지’로 인기가 높지만 사실 해양 생태계의 ‘전쟁터’다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필름 스피커는 두께가 얇고 마음대로 오리거나 휠 수 있어 옷으로 만들 수 있다.
결국
극이 흐름에 따라 배우가 어떻게 움직일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어떤 영상과 소리가 나올지 대강은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배우의 동작은 매번 미세하게 다르며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나오는 영상과 음향도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냉장고처럼 온도가 낮은 장소에 두면 기체 분자가 느리게 움직이면서 풍선이 작아진다.
결국
풍선이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 있는 비결은 재료인 고무가 신축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풍선은 재질이 부드럽고 접촉면이 매끄러워 다루기 쉬우며 몸속에 넣었을 때 심하게 마찰을 가하지 않는다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지만 불과 수천 년 전의 발명품인 글을 읽기 위해 준비된 신경회로는 없다는 뜻이다.
결국
우리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신경회로와 언어처리회로를 활용해 글을 ‘읽는’ 요령을 터득해야 한다.개인마다 얼굴 생김새가 다르듯이 뇌 속 신경회로의 배치가 조금씩 달라 누구는 공간 지각력이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