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나간다. 우리 집의 벽을 이루는 대장세포는 짧은 사슬 지방산을 영양소로 이용한다.
결국
장내세균과 대장세포는 서로 돕는 관계다.내가 가야 할 길집(대장) 안에서 장내세균들과 행복했던 순간도 잠시, 곧 바깥으로 나가야만 한다. 만약 내가 대장 안에서 오래 머물면 어떤 일이 생길까. 사람들은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분자를 녹인 용액에 금으로 된 전극을 넣으면 사슬의 끝이 금 표면에 찰싹 달라붙는다.
결국
금 표면에 고리분자가 촘촘히 박혀 마치 모내기 철 논에서 볼 수 있는 모판과 같은 형상이 된다. 분자들이 스스로 모여(자기조립) 분자 하나 두께로 금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이를‘단분자막’이라고 부른다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얻는다. 방사성 의약품이 있는 곳은 질환을 일으키는 인자나 암세포가 있다는 뜻이다.
결국
질환 때문에 나타나는 아주 미세한 변화까지도 잡아내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해부학적인 구조를 관찰하기에는 해상도가 떨어진다.CT 장비는 X선을 환자의 몸에 여러 각도에서 쏜 뒤, 몸을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결과 미생물은 세포벽이 부실해져 죽는다. 페니실린이 항생제로 작용하는 이유다.
결국
L-아미노산의 펩티드 결합을 끊는 효소를 피하기 위해 미생물이 진화시킨 D-아미노산 세포벽 전략에 대한 대응책이 페니실린이다. 생명체의 진화는 물고 물리는 치열한 전략게임인 셈이다. 신호 전달하거나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외벽에 작고 동그란 구멍을 뚫어 거대한 교보타워가 조각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했다.
결국
지름 1050mm의 원형 구멍3371개를 벽면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했다. 구멍을 뚫는 덕분에 무거운 콘크리트 벽체를 쌓아 올리는 부담도 줄었다. 마치 다공질의 스펀지처럼 곳곳이 비어 벽체가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시간이 지나 혈액 시료를 채취해 분석해보면 거의 1:1로 (+)와 (-)가 공존하고 있다는 것.
결국
탈리도마이드 같은 약물의 경우 거울상 분자를 없애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무조건 피해야 한다.이 밖에도 약물의 거울상 분자가 다른 약효를 보이거나 부작용이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에디슨은 백열전구를 개발하는 동안 발전기 연구를 계속했고, 전기 계량기 개발에도
결국
성공했다. 그가 개발한 기기들 덕분에 백열전구는 좀 더 빨리, 그리고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 녹아들 수 있었다.백열전구를 이용한 완벽한 조명 시스템이 첫선을 보인 곳은 뉴욕 금융가 펄스트리트255~25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떼 놓으려 해도 잘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암놈을 강하게 끌어안는다.홍어의 수놈은
결국
이런 습성 때문에 종종 애꿎은 목숨을 잃곤 한다. 번식기를 맞아 짝을 찾느라 혈안이 된 수놈은 그물이나 낚싯바늘에 걸려 꼼짝도 못하고 있는 암놈을 만나면 앞뒤 가리지 않고 달려든다. 그러나 암놈을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B로 암호화한 것이다.일본의 퍼플 암호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암호는 눈부시게 발전했고
결국
일본은 최고난도의 암호기계인 퍼플을 만들었다. 기계의 몸체가 보라색이라 이름 붙여진 퍼플은 그 어떤 암호기계보다도 성능이 뛰어났다. 그러나 미국의 암호전문가가 퍼플의 모조품을 제작하고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문장은 진실이되어야 한다. 뒷면의 문장이 진실이려면 앞면의 문장이 거짓이어야 한다.
결국
앞면의 문장이 참이라는 가정과 모순을 이룬다. 앞면의 문장이 처음부터 거짓이라면, 뒷면의 문장은 거짓이 되고 그러면 다시 앞면의 문장이 참이어야 한다. 이 또한 모순이다. 크레타인의 역설은 역설이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