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91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이조스 이끄는 블루오리진, 핵열 추진 우주선 개발 참여
연합뉴스
l
2021.04.13
록히드 마틴과 함께 블루오리진을 선정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달과
지구
를 운항할 수 있는 핵열 추진 시스템 기반 우주선을 2025년까지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3개사는 앞으로 18개월 동안의 사업 진척에 참여한다. 핵열 추진 우주선은 기존 시스템보다 효율성이 뛰어나 개발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형태로 대기에 더해진다. 그 결과 해마다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2~3ppm씩 올라가고 있다.
지구
시스템과학테이터 제공 ○ 이산화탄소 1t 포집 비용 47달러로 낮춰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3월 26일자에는 최근 탄소포집기술을 소개한 기사가 실렸다. 이 기술이 상용화에 성공하면 현재 4000만 ... ...
[인터뷰]"AI 연구기지 수리연구소 본래 가치 인정 받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3
다양한 분야의 산업수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AI 연구도 산업수학 연구의 큰 축이다.
지구
온난화로 극지 해빙이 녹으면 한반도 해수면 상승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딥러닝을 이용해 빙상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고 있다. 2016년 처음으로 관측돼 전 세계를 뒤흔든 중력파 데이터 분석법도 연구 ... ...
백악기 딱정벌레 배설물이 밝혀준 꽃식물과 곤충 밀월 관계
연합뉴스
l
2021.04.13
백악기인 약 1억2천500만년 전 쯤에서야 꽃식물이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현재는 꽃식물이
지구
식물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런 성공적 진화는 꽃가루를 옮겨주는 화분 매개 곤충이 없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P. 비비피쿠스의 근연종은 호주에 서식하는 긴수염밑빠진벌레과 ... ...
태양전지판 펼치고 ‘공포의 20분’ 넘겨라…12년 대장정 트로이 소행성 탐사 본격 채비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루시가 트로이 소행성 탐사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면 40억 년 전 태양계 형성과
지구
생명체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과학자들은 태양계 형성 초기 태양을 중심으로 원반 모양으로 회전하던 우주먼지 등이 뭉쳐 미행성을 만든 뒤 이들이 부딪치면서 큰 덩어리인 목성이 ... ...
하늘에서 분필 가루가 내려와요…사상 첫
지구
공학 실험, 반대 부딪혀 잠정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필요성을 주장했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마리온 후더퀸 콜로라도대 교수는 “
지구
공학이 궁극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탈탄소화를 위한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스타링크 위성과 원웹 위성 58m차 비켜가…우주 교통사고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준비하며 수천개의 위성을 쏘아 올릴 준비를 하고 있다. 이렇게
지구
궤도 상에 위성 숫자들이 늘며 충돌 위험도 커지고 있다. 현재 우주 저궤도의 위성 간 충돌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어떤 조치를 취하도록 강제할 국가적 혹은 글로벌 차원의 권한을 가진 단체가 없다. 우주 ... ...
NASA 화성 헬기 ‘인저뉴이티’ 첫 비행 14일로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대기를 비행하는 무게 1.8kg의 소형 헬기다. 화성은
지구
중력의 3분의 1, 대기 밀도는
지구
의 100분의 1 이하여서 희박한 공기를 가진 화성에서 인저뉴이티가 공중에 뜰 수 있을지 관심을 모아 왔다. NASA는 인저뉴이티의 날개(로터블레이드)를 가벼운 탄소섬유로 제작해 분당 2537회라는 매우 빠른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상한 감마선 폭발의 정체를 쫓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탐지기의 위치, 신호 도달시간, 삼각측량법을 이용해 폭발 위치를 추정했다. 그 결과
지구
에서 약 1140만 광년 떨어진 조각가자리 은하(NGC 253)에 있는 마그네타가 유력한 폭발 지점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이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해 감마선 폭발이 일어난 후 19초가 ... ...
미생물에서 립스틱과 딸기우유 붉은색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생산량을 보이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미생물 균주는폐목재, 잡초 등
지구
에 풍부한 바이오매스의 주원료인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한다. 연구팀은 카르민산을 생산해내는 효소를 찾아내는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해 알로에로부터 생산 가능했던 미백제인 알로에신 생산도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