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선보인 ‘뭐라카로티노이드’ 팀의 원윤태 군(부산과학고 2학년)은 “쇼케이스에서 우리가 준비한 포스터와 실험 장치를 설명하자 심사위원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생산을 늘리기 위해 식물에 스트레스를 줬을 때 다른 부작용이 있는지도 확인하면 좋겠다는 조언을 들었다”며 “앞으로 이에 대한 ... ...
- 7494.442 미스터리...프로듀스 X 101 투표 조작 의혹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우리 연습생이 대체 왜 떨어진 거야! 결과가 이상해!”‘100% 국민 프로듀서가 뽑은 연습생이 국가대표 아이돌이 된다!’는 콘셉트로 인기를 끈 Mnet의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 시리즈. 2019년 7월 방영된 ‘프로듀스 X 101’은 수많은 논란을 낳은 끝에 제작진이 경찰 조사까지 받게 ... ...
- 전국반장회의 3분 요약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김용휘 선생님의 사회로 진행된 2부 패널토론에서는 수학 교수와 수학 교사 앞에서도 ‘우리나라는 단순 문제 풀이에 뛰어날 뿐 창의성이 없기 때문에 수학 선진국이 될 수 없다’거나, ‘수학은 도구일 뿐 본질이 될 수 없다’는 등의 거침없는 의견을 내놓아 좌중을 놀라게 하는 한편, 학생이 ... ...
-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숨겨진 보물을 찾아다니는 ‘바다 소년’이야. 내 손에 들린 지도가 보이지? 이게 바로 우리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보물 지도란다. 그런데 이게 뭐야…? 표시된 곳까지 왔는데 눈에 보이는 거라곤 오징어랑 말미잘, 해초밖에 없잖아. 지도 속 보물을 누가 훔쳐간 걸까?도움김병직(국립생물자원관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나 이야기를 듣는답니다. Q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통지식을 모으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데 힘이 되기 때문이에요. 바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초도 그 쓰임새가 알려지면 소중한 생물자원이 되는 거잖아요? 그러면 자연스럽 게 생물을 보호하는 데 힘 쓰게 되겠죠 ...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어졌죠. 1년 가까운 실험 끝에 블랙홀 관측 결과가 최종적으로 발표되었 답니다. 우리가 본 한 장의 사진은, 실은 10년 동안 이어진 프로젝트에 참여한 200여명의 세계의 과학자들이 만들어낸 합동작품인 셈이에요. 용어정리페타바이트(Petabyte, PB) : 자료량을 표현하는 단위로, 1000테라바이트를 ... ...
- ebay에 경매로 나온 명품 공룡 화석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해외 반출이 금지돼 있다. 화석도 그 나라 역사의 일부이자 보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 나라에서 도굴된 화석들이 버젓이 인터넷에서 팔리고 있다. 중국과 몽골 화석은 단속을 피해 ‘중앙아시아’라고만 표기된 채 판매된다.도굴되는 공룡 화석은 주로 머리다.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제어기를 개발하던 내가 우연한 기회에 KVN 프로젝트에 뛰어들어 30대를 오롯이 보냈지만,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자긍심이 생긴다. 10년, 20년 뒤에는 화성에도 KVN의 전파망원경이 한 대 정도 설치되면 좋겠다. 그때는 내 아이와 그 친구들이 ‘화성 KVN’의 주인공이 되지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정보가 움직이는데, 이때 정보가 이동하는 통로가 모니터링과 제어에 해당한다.먼저 우리가 인식하는 정보는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 수준에서 메타 수준으로 이동한다. 메타 수준에서는 제어를 가해 대상 수준의 정보를 가공하고 특정 행동을 만들어낸다. 그렇다고 모든 정보가 메타 수준의 제어를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정말 좋은 로봇을 완성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다음 호에서는 로보트 재권V가 우리와 함께 생활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능인 촉각 및 힘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