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에어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때문에 토기 안의 물이 시원해지는 것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열·유동제어연구
센터
이대영 박사 연구팀은 이처럼 간단한 자연현상을 적용한 신개념 에어컨을 개발했다. 이 에어컨은 어떻게 작동할까.얇은 물수건에 실리카겔 같은 습기제거제를 대고 물수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해보라. 온도가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주민들이 이렇게 협조해주셔서 어류 생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연구
센터
직원과 함께 온 마을 계장도 한마디 덧붙인다.“어이구, 고맙다아이가. 이래 고기 많이 잡히게 해주니께 우리도 먹고 살 맛 난대이.”요즘 통영 앞바다에는 바다목장이 제법 완성된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지난해 ‘엑스포 2003’에서는 총 1백70억원의 상담이 성사된 바 있다.칭화대 국제기술이전
센터
진퀸시안 박사는 “칭화대는 외국의 여러 대학들과 교류하고 있지만 KAIST와의 관계는 예외적인 경우”라면서 “KAIST는 우수한 교수진과 학생들이 포진한 아시아 최고의 이공계대학으로 우리대학과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
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풀 과학기술전문가를 찾는 시민참여연구
센터
의 발걸음이 빨라지게 생겼다.시민참여연구
센터
는 회원들 사이에서는 일명 ‘참터’ 로 통한다.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지원하면서 ‘참’다운 과학기술을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프랑스도 1997년 6천m급 무인잠수정 빅토르 6000을 개발했고, 같은 해 일본해양연구
센터
는 지구에서 가장 수심이 깊은 마리아나 해구를 조사할 목적으로 해저 1만1천m 깊이까지 탐사할 수 있는 카이코를 개발했다.한국은 이들 해양선진국에 비해 무인잠수정 개발에 늦게 뛰어들었다. 1993년 ... ...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μm=${10}^{-6}$m) 안팎의 복잡한 모양을 형성한 것.연구를 주도한 케임브리지대 나노기술
센터
마크 웰랜드 교수는 나노섬유의 응용분야가 매우 넓다고 설명했다. 웰랜드 교수는 “현재 이를 활용해 방수코팅이나 신형 태양전지용 소재 연구에서 큰 성과를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그는 “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같은 연구가 몇몇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서울대 생체계측신기술연구
센터
에서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극과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를 침대 시트에 삽입하고, 침대 다리에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장착했다. 그래서 자는 동안 심전도와 호흡을 측정하고 체온이나 신체 움직임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 질병예방통제
센터
는 미국 어린이 1백명 중 12명이 소음성 난청에 시달리고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소음성 난청이란 허용치 이상의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됐을 경우 소리를 잘 듣지 못하게 되는 질병을 뜻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전세계에서 1억2천만명 이상이 소음에 의한 여러가지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좋은가, 아니면 인간을 달에 갔다 오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에 대해 죠지 마샬 우주비행
센터
장이었던 베르너 폰 브라운은 3인 우주선을 이용한 달 착륙 계획으로 소련을 이길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올렸다. 케네디 역시 인간을 달에 보내는 것이 소련을 이기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경우 지난 6년 동안 과학기술부 중점연구과제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과학연구
센터
를 중심으로 뇌신경정보학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5개 과제 중 인공시각과 인공청각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간 시청각의 뇌신경정보처리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를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