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발생한 뒤 5시간 뒤에 하와이를 덮친 해일은 159명의 목숨을 앗아갔다.1948년 설립된 경보
센터
는 그 뒤 지금까지 태평양에서 다섯차례 발생한 대형 쓰나미 모두에 대해 경보를 발동했다. 그러나 15회는 잘못된 경보를 내리기도 했다. 아무튼 태평양에는 해수면 파도 감시기가 설치돼 있지만 이번에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강점을 로봇과 결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KAIST 로봇연구
센터
변증남
센터
장은 “미국은 인공지능, 일본은 기계와 전자기술이 앞서 있다면 한국은 무선통신 기술이 장점”이라며 “온갖 전자제품과 연결된 유비쿼터스 로봇 등 한국형 로봇을 만들면 승산이 있다”고 강조했다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 있다.신형 감청 기술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남캘리포니아대 신경공학
센터
테드버거 박사는 인간 청각신경계의 작동 원리와 유사한 신형 감청 기술을 개발 중이다. 총격음이나 사고음을 수km 밖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인체가 비슷한 소리를 구별할 때 사용하는 신경계 ... ...
과학과 미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한다.구렁이처럼 뭉친 바실러스균최기주∙서울보건대 중앙기기
센터
연구원여러마리 구렁이가 이리저리 뒤엉켜 있는 것 같다. 구렁이 몸통의무늬처럼 보이는 막대모양 하나하나가 사실은 된장을 발효시키는데이용되는 바실러스균. 이 작품은 바실러스균을 건조하다가 ... ...
벤젠, 미량으로도 혈액 파괴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알려져 있다.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 마틴 스미스 교수팀과 중국 질병통제예방
센터
연구자들은 중국 티안진 근교에서 다양한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는 신발공장 근로자와 벤젠이 쓰이지 않는 옷공장 근로자의 혈액을 비교했다.그 결과 벤젠에 노출된 근로자는 백혈구 수와 혈소판 수가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포항공대 내 설립된 아태이론물리
센터
(APCTP) 등 각 지역별 전시회도 주목할 만 하다.
센터
는 2월부터 포항 및 경북 일원에서 ‘상대성이론 그후 100년’이라는 주제로 대중강연회와 콘서트, 과학축전 등 일반인을 상대로 하는 다양한 아인슈타인 관련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아인슈타인 이론 대중화에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방문교수2002년∼현재 세계경제포럼 아시아차세대리더2002년∼현재 생물정보연구
센터
소장2004년∼현재 호주 퀸스랜드대학교 명예교수한국과학기술원의 젊은 교수1964년 서울에서 태어난 이상엽 박사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생물화학공학으로 박사학위를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뮌헨과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이어졌다.행사의 하이라이트는 17일 피츠연구개발
센터
에서 하루 종일 이어진 ‘이노베이션 데이 워크숍’이었다. 워크숍을 통해 BMW 그룹이 첨단 자동차를 연구개발하는데 적용하고 있는 최신 기술을 만날 수 있었다.이 행사에 맞춰 새롭게 문을 연 ‘프로젝트 ... ...
노화원인 '활성산소'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난치병 치료용 신약 개발의 길을 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체 시스템 연구
센터
장 류성언 박사는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과학전문지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2월호에 발표한다”고 11월 15일 밝혔다.활성산소는 ... ...
NASA 극초음속기 음속 10배 돌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투자됐다.이 소형항공기는 캘리포니아주 남부 에드워즈 공군기지 내 드라이덴 비행연구
센터
에서 공군 B-52B 폭격기 오른쪽 날개에 달린 채 이륙했다. 태평양 상공 1만2000m 상공에서 폭격기와 분리된 X-43A기는 페가수스 추진 로켓의 도움을 받아 3만500m 상공까지 고도를 높였다. 다시 추진 로켓과 분리된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