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이 과학에 속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때 이용하죠. 못 믿으실까 봐.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지학사)도 직접 가지고 왔어요. 200쪽에 보면‘용수철저울에 무게가 15N(뉴턴, 힘의 단위)인 돌멩이가 매달려 있다. 돌멩이가 물에 모두 잠겼을 때 용수철저울이 10N을 가리켰다. 이때 돌멩이가 받는 부력의 크기는 얼마인가?’라는 문제가 있어요 ... ...
- 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지도에 원 모양으로 그대로 그리고, 반대쪽 면은 다시 둘로 나눠 처음 그린 원의 바깥쪽으로 연장해 그렸다. 이 지도는 적도를 지나는 위선과 양극 지방을 지나는 중앙 경선의 비가 2 : 1인 타원 모양이다. 지도의 모든 위선은 직선이고, 중앙 경선을 제외한 나머지 경선은 곡선이다. 이는 세계의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4호
- 풀이를 할 수 있습니다.멋진 증명이지 않은가요? 원래의 문제는 3×3보다 더 줄여서, 코너쪽의 계단 꼴로 생긴 영역을 아메바들의 집으로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 가지 관찰을 더 필요로 하는데, 과연 그 증명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이것은 독자 여러분의 몫으로 남깁니다 ... ...
- 포천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 MIE 수업 현장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막대를 나눠 줬어요. 학생들은 아이스크림 막대 25개를 가지고 수학동아 2월호 76~77쪽을 보며 다빈치 다리를 만들기 시작합니다.1, 2, 3단계까지는 쉽게 성공하는데, 문제는 4단계! 생각만큼 쉽게 되지 않자, 여기저기서 기자를 부르기 시작합니다. 기자는 동해 번쩍 서해 번쩍 뛰어다니며 학생들과 함께 ...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이상에는 지진력이 더 크게 작용했다.[일본 이와테 현 리쿠젠타카다 시의 지진해일 전(왼쪽)과 후를 인공위성으로 같은 앵글에서 찍었다. 거의 모든 목조건물이 파괴되고 논과 밭이 물에 잠겼다. 지진해일의 피해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파고가 높은 지진해일은 콘크리트 건물도 무너뜨린다.]일본 ...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경우 문맹인 사람이 더 민감하게 반응한 반면 글자 이미지는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 쪽이 훨씬 민감하게 반응했다. 연구자들은 “원래 얼굴을 인식하는 뇌의 영역이 글을 읽는 회로를 만드는 데 활용된 결과”라고 설명했다.지난 수년 동안 신경과학은 뇌가 정적인 기관이 아니라 끊임없이 시냅스가 ... ...
-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울다가 죽었다고 한다. [과학 삼국사기, 과학 삼국유사 | 이종호 지음 | 동아시아 | 약 360쪽 | 각권 1만 6000원] 앵무새가 거울을 쪼다가 결국 제 그림자임을 깨달았다는 이야기인데, 정말 앵무새에게 그런 인지 능력이 있을까. 학자들의 견해는 둘로 나뉜다. 하나는 동물이 자신을 인식할 수 있다는 ...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이렇게 생성된 DNA 이중나선은 폭이 2.0nm이며 3.4nm(10개의 염기쌍)마다 나선이 오른쪽으로 한 바퀴 꼬인 모습을 갖춘다.범인을 잡아라DNA는 범죄 수사나 친자 확인 과정에도 등장한다. 이 과정은 DNA의 특정한 염기서열을 인식하고 자르는 제한효소를 이용해 이뤄진다. 범인의 혈액과 용의자의 DNA를 같은 ... ...
- The Return of the New Margarine과학동아 l2011년 04호
- when it’s bad for your health.해석 새로운 마가린의 재림얼마 전 뉴욕의 한 음식점에서 빵 한쪽을 베어 물었을 때 내 입맛에 불이 들어왔다. 마가린이 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뚱뚱한 버전처럼, 나는 어린 날로 돌아가 당시 그토록 좋아했던 버터 대용물인 노란색 마가린 덩어리를 떠올렸다(역자 주 - ...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전류를 운반한다고 밝혔다. 이 두 전자를 ‘쿠퍼 쌍’이라고 부른다.(오른쪽)그러나 얼어붙은 수은이 절대영도가 아닌 4.2K에서 갑자기 저항이 사라진다고는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처음엔 오네스도 어리둥절했다. 실험 장치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닌가 의심도 했다. ‘측정을 통한 지식’을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