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에너지
먹고 움직이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09
감지해냈고, 수만번 방향을 교정했다”고 말했다.로봇연구소의 한 관계자는“태양
에너지
를 이용한 탐사로봇 기술은 행성 탐사 분야를 한차례 크게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09
프로세스 개발 등에서 향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미국
에너지
성은 10년에 걸쳐 1억5천만달러를 투입해 단세포 미생물의 대사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미생물 세포프로젝트(Microbial Cell Project)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도 막대한 연구비를 지원해 ‘E-Cell’ 프로젝트를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09
측정해 미소한 차이를 찾아내는 것이다.KEK와 SLAC의 가속기들은 전자와 양전자의
에너지
를 다르게 해 생성된 입자들을 한쪽으로 추진(부스트)시켜 좀더 멀리 날아가도록 해 이런 측정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한편 이들 가속기에서 B중간자와 반B중간자가 쌍으로 생기기 때문에 한쪽이 B나 반B인지 알 ... ...
반딧불의 비밀은 산화질소
과학동아
l
200108
있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찾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소비해
에너지
를 발생시키는 기관이다. 반딧불이의 발광체에 들어 있는 루시페린 역시 산소와 반응해 빛을 내는 물질이지만 평소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산소를 독점해 빛을 못낸다.산화질소는 바로 두 기관의 산소 소비를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08
퇴적물 채취해 연구 고기후 연구는 기후변화의 원인을 밝혀냄으로써 화산폭발이나 태양
에너지
의 변화와 같은 자연적인 원인이 20세기 지구온난화에 어떻게 관련돼 있는가를 밝히는데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기후 연구에 사용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기후모델이 과거의 기후변화를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08
신호로서 체내에 저장됐던 글리코겐과 지방이 혈액으로 분해돼 나온다. 이것이 운동
에너지
로 변환돼 사용된다.이런 상태에서는 당분을 섭취해도 인슐린 분비가 일어나지 않는데, 운동중이므로 혈당이 상승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동이 계속될 때에는 당분을 섭취해도 인슐린 분비가 일어나지 ... ...
1. 최신항공기 경량화의 첨병 강철만큼 강하고 5백℃ 견딘다
과학동아
l
200108
강하다는, 고분자의 가장 큰 장점을 활용해 각종 제품을 경량화하고 이로 인해
에너지
를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에도 새로운 고분자 소재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 개발과 아울러 고분자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재료로서 위치를 점할 것이다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08
차단한 가운데, 보이지 않는 수많은 에일리언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로부터
에너지
를 빼앗고 모든 과학시설을 파괴하며 인류의 멸종을 위한 전쟁을 벌인다. 하루가 다르게 지구는 황폐해져가고 수천만명의 인간들이 에일리언들의 먹이가 된다.이에 살아남은 소수의 인간은 조직적인 ... ...
에너지
를 내손으로 만들자
과학동아
l
200108
21세기에 인류가 해결해야할 문제 중 하나는
에너지
다.세계적으로 전력소비량은 늘어나지만 전기를 만드는
에너지
원인 석유나 천연가스는 점점 고갈될 위기에 처해있다.만약 ... 것이다. 즉 알루미늄 깡통에 흡수된 태양
에너지
가 바로 바람개비를 돌리는 바람
에너지
로 전환된 것이다 ... ...
중성미자 질량 존재 97% 확신
과학동아
l
200108
바로 한국을 비롯한 일본, 미국이 참여하는 K2K 실험이다. K2K 실험은 일본 츠쿠바시의 고
에너지
연구소(KEK)에서 입자가속기로 ‘뮤온중성미자빔’을 만들어 이를 땅속으로 관통시켜 2백50km 떨어진 도쿄대 우주선연구소의 지하관측장치인 ‘슈퍼카미오칸데’를 향해 발사한 후 뮤온중성미자가 다른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