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커뮤니케이션즈’ 10월 26일자와 11월 9일자에 잇달아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단은 면역
조절
T세포의 활성과 생성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들을 규명했다. 이 결과는 면역의 관점에서 암과 자가면역질환이 서로 시소 관계에 있다는 통찰을 실험으로 증명해 관심을 끌었다. 이 결과는 면역세포 치료제 ... ...
도로위 차량 10%만 자율주행차로 바꿔도 평균속도 2배 올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때문에 교통체증이 줄어든다고 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율자동차의 속도만
조절
하도록 알고리즘을 짰다. 논문 제1저자인 유진 비니트스키 UC버클리 기계공학과 연구원은 “자율주행차가 도로의 정체 상황을 해소하는데 일부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차선 변경과 같은 복잡한 운행 ... ...
곤충 눈 구조 모방한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초박형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 카메라 렌즈는 빛의 굴절을
조절
할 때 생기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여러 장의 렌즈를 붙여 만들었기 때문에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같은 원리로 만든 카메라 렌즈를 단순히 크기만 줄여 만든 소형 카메라도 등장하고 있지만 이 경우 ... ...
빛 마음대로
조절
하는 ‘초박형 렌즈’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모이게 하는 새로운 초박형 평면 렌즈다. 수cm 두께의 무거운 렌즈 없이도 빛을 자유롭게
조절
해 원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 교수와 이건열, 홍종영 연구원 팀이 만든 메타렌즈를 들어봤다. 두께감이나 무게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이 연구원이 “두께가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있어 한쪽을 낮춰 전자가 양자점으로 들어온 다음, 다시 반대편 장벽을 낮춰 빠져나가게
조절
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주파수를 명확히 알고 있는 전원을 단일전자펌프에 입력하면, 이 주파수와 동기화된 전자가 하나씩 나오게 제어하는 원리다”며 “이때 출력되는 전류에 크기는 넣어준 ... ...
[표지로 읽는 과학] 완벽하고 건강한 식단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채소로 전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방과 탄수화물의 비중을 개인의 상황에 맞게
조절
하면 최적의 식단을 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더 건강한 식단을 권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탄수화물과 지방 비율의 식단이 칼로리 섭취에 관계없이 신체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당뇨병의 경우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아의 생활공간, 태반이 형성될 때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혈관성 세포가 분리된 층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두 세포층에는 면역을
조절
하거나 화학 물질 생성에 관여하는 세포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이크만 그룹장은 “태반이 생성되는 시기 태아와 모체의 막이 섞일 때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들이 층을 이뤄 발달하는 것을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않게 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햇빛이 적을 땐 불필요한 물과 비료를 주지 않도록
조절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보통 농가는 물과 비료를 30% 정도 버리지만, 도시농업연구소는 낭비하는 양이 거의 없습니다. 미생물이 식물을 살린다! 우주농업 NASA는 미국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18.11.17
없이 빵을 먹기 위해서는 밀 생산량을 지금보다 60% 더 끌어올려야 한다. 수확 시기를
조절
할 수 있는 밀,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는 밀, 병충해에 강한 밀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다. 밀 게놈 해독은 이를 위한 첫 걸음이라는 평가다. 서 교수는 “밝혀낸 밀 유전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연구해나갈 ... ...
왜군 벌벌 떨게 한 조선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중심에는 대나무통에 있는데 여기에 목곡을 감는 횟수에 따라 폭파되는 시간을
조절
하도록 설계됐다. 먼 거리에 있는 적에게 발사할 때는 목곡을 여러 번 감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적에게 발사할 때는 목곡을 감는 횟수를 줄이는 방식이다. 비격진천뢰는 임진왜란 당시 맹활약을 했다. 위력이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