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59건 검색되었습니다.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에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물방울이 유전자의 전사과정에 작용해 발현률을
조절
하며, 근위축성신경경화증환자에서는 뇌를 막히게 만든 물질을 녹이기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유전자 전사 과정 뿐아니라 대사 과정에서 세포 속 물방울이 두루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세 분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조절
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패턴을 형상화했다. 연결 단위별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조절
하면 신경망이 성장하는 과정을 예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개발한 모델은 3D프린터로 출력해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런 방식이 동물의 뇌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 ...
글로벌 반도체 시설투자 1천억弗 돌파…삼성 21% 비중 '넘사벽'
연합뉴스
l
2018.11.30
반도체 시장의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내년에는 메이저 업체들이 설비투자의 속도를
조절
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가 올해보다 20%나 줄인 180억달러에 그치고 인텔과 하이닉스도 각각 13%와 22% 감축하면서 전체 업계 설비투자액은 945억9천만달러로 다시 1천억달러를 밑돌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이강운의 곤충記]미세먼지 없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이 행복한 줄 알까?
2018.11.29
도구로도 사용한다.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물질을 방출시키거나 호흡량을
조절
하여 소리를 내어 천적을 쫓는 방어기구로도 사용한다. 혹은 숨구멍 자체를 강력한 경고 색으로 무장해 무기화하기도 한다. 곤충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숨구멍이다. 잎말이나방과 애벌레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관련된 부위로 체온을
조절
하고 배고픔이나 피로 등과 관련해 호르몬 분비를
조절
한다. 특히 긴박한 상황에서 몸을 긴장상태로 만드는 ‘투쟁-도피’ 반응과 연관된 부위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016년 6월호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쉽고 값이 저렴하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하지만 불이 한번 붙으면 멈출 수 없어 추력을
조절
할 수 없다. 정밀한 엔진 제어가 불가능하다. 반면 액체 추진 로켓은 주입하는 연료량을 제어하는 게 가능하다. 정교한 제어가 필요한 우주선 영역에서 액체 추진 로켓이 쓰이는 이유다. 고체 로켓(왼쪽 ... ...
신희섭 IBS 단장, AAAS 펠로우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공감 능력에 장애를 가진 정신질환 치료 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발견했다. 수면 중 뇌파를
조절
해 학습 기억력을 2배 높여 지난해 국제학술지 ‘뉴런’에 발표한 연구논문은 ‘우수과학자 1000’ 논문에 선정돼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도 했다. 신 단장은 “AAAS로부터 펠로우 선정 통보를 받고 매우 ... ...
지하 1.8m 아래 무기질층 탄소 붙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많이 저장되도록 하면,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산성도를
조절
해 토양에 축적되는 탄소에 양이 변했을 때 나타날 영향을 먼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 ...
UNIST 대학원생, 한국 최초로 머크 생명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기존의 TonEBP 단백질은 신장에서 소변양을 정밀하게
조절
하거나 병균에 감염됐을 때 몸을 보호하기 위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원은 간암 환자에서도 TonEBP 단백질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고, 간암의 진행 단계별로 이 단백질이 다른 단백질과 ... ...
인슐린 품귀현상 발생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1형 당뇨병과 달리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혈당량을
조절
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오는 2030년에는 2형 당뇨병환자 수는 지금보다 20%이상 증가해 5억 명을 넘어설 것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자이 바수 미국 스탠퍼드의대 교수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