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 수컷도 허세 부리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끈 리버풀대 통합생물학 연구소의 앤리제 박사는 “우리가 관찰한 초파리의 행동은
인간
남성이 여성을 둘러싼 경쟁에서 느끼는 강박심과 비슷하게 진화해 왔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영국 왕립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실릴 예정이다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쓸 수 있다. 프로젝트 리더인 IBM의 다멘드라 모다 박사는 “
인간
의 뇌를 역공학으로 분석해 마음을 재창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에 개발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두 개다. 하나는 262,144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시냅스가 있고, 다른 하나는 65,636개의 학습용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필요하다.
인간
은 아직 달 뒷면의 월석도 가져오지 못했다.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천체로
인간
이 유일하게 발을 디뎌본 달에 대해서라면 모든 것을 알고 있으리라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지구에도 여전히 우리가 가보지 못하는 장소와, 이해하지 못하는 일이 많듯이 달도 아직 수수께끼로 가득 찬 ... ...
인간
관계에서 잡담이 차지하는 역할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아닐는지. 버터를 바르지 않은 맨 빵은 아무래도 맛이 덜하다. 그런 것처럼 잡담이 빠진
인간
관계 역시 지나치게 심심하지 않을까.약간의 잡담은 마음의 환기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살다 보면 마음속에 먼지와 앙금이 쌓일 때가 많다. 때때로 마음의 문을 열고 그것들을 털어내고 새로운 공기를 갈아 ... ...
구름과 비의 관계는 얼룩말과 사자의 관계?!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많으면 공기 중의 물기가 쉽게 구름으로 만들어진다.코렌 박사는 “이 연구는
인간
의 활동 때문에 늘고 있는 에어로졸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이해할 수 있는 큰 그림” 이라고 설명했다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크기가 3200Mb인 사람의 게놈을 읽는 데 불과 10일 밖에 걸리지 않는다. 지난 2001년 완성된
인간
게놈프로젝트가 13년이나 걸린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기술의 진보다. 그렇게 옛날 얘기를 할 필요없이, 불과 3년 전 대학에 다닐 때 40kb를 읽는데 한 달이나 걸렸던 기억이 난다. 이렇게 염기서열을 읽는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행동이 생물학적 기반보다는 문화적 기반을 갖는 것이라면 (역시 공격적인 동물인) 우리
인간
에게도 희망은 있다”고 덧붙였다.진화론 전문가인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는 “이런 관찰은 조직에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큰 시사점을 준다”며 “막연한 논의보다는 정책에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뒤 멈춰 줄기세포를 얻지는 못했다. 그런데 2004년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
복제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했다는 논문을 ‘사이언스’에 발표하면서 전 세계를 경악시켰다.그러나 2005년 말 연구조작 의혹이 일어나고 얼마 뒤 진상이 밝혀지면서 우리나라는 최악의 과학스캔들에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번식을 돕는다. 결국 꿀벌의 떼죽음은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는 신호탄이다. 그 피해는
인간
이 식량을 얻지 못하는 큰 재앙으로 닥칠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곤충 없인 못 살아! 지금은 곤충시대PART1. 곤충을 아시나요?PART2. 지금은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미세조류. 육상생물의 토대를 만들어준 미세조류가 오늘날 가장 골치 아픈 육상생물인
인간
이 초래한 각종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시 나서고 있다. 미세조류가 ‘녹색 황금(Green Gold)’로 불리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