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우주에 고등 문명을 이룬 생명체가 현재 우리밖에 없다면 어떻게든 살아남고 번영해서
인간
의 가치와 문명을 전 우주에 확산시키는 것이 우리의 우주적 사명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어느 누구도 빙하 아래 호수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어요. 하지만 발견했지요.” 1970년 남극의 빙하 아래서 ... ...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것들의 소중함을 이야기할 때 ‘공기’를 예로든다. 하지만
인간
의 감각 역시
인간
이
인간
답게 할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생명 연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퍼펙트 센스’는 우리가 감사한 줄 모르며 누리고 있는 감각들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극한의 상황에서 나와 우리와 사회가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③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현재 네트워크 이론은 사회 구조나
인간
관계를 연구하는 사회학과 인터넷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전산분야를 넘어, 면역체계나 신경세포를 연구하는 생물학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누구라도 6단계면 연결된다?!페이스북에서 친구를 맺으면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나와 손에 손을 잡고 총 600km에 이르는 장대한
인간
띠를 만드는 시위를 하였다. 이
인간
띠가 발트 사람들의 길, 즉‘발틱 웨이’라고 불리게 되었다.세 나라는 구소련에 속했을 때는 소련 수학 올림피아드의 일원이었지만, 독립 후에는 자신들만의 수학 올림피아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199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른 사람에게 성의껏 대하는 게 중요해요.” [데니스 홍 교수가 한국의 고등학생들에게
인간
형 로봇 찰리2를 선보이고 있다. 홍 교수는 “로봇은 여러 전공의 사람들과 협력 연구가 필수”라며 “협력을 잘 하려면 동료에게 많이 웃고 친절하게 대하라”고 당부했다.]신나는 일을 하라홍 교수는 ... ...
고향 못 떠나면 기후변화에 당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고도만 약간 이동해도 살기 적합한 온도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진은 “
인간
이 기후에 끼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가 빠르지 않은 아마존과 중앙아프리카도 70년 후에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이 결과는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 실렸다 ... ...
‘심장질환 유전자’ 예방하는 초록 샐러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채소가 심장질환 관련 유전자를 조절해 병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맥길대
인간
유전학부 제이미 언저트 교수팀은 강력한 심장질환 유발요인인 ‘9p21’유전자에 주목했다. 이 유전자가 있는 사람은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비교적 높다.9p21유전자는 인종에 따라 변이가 달라진다. 연구팀은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늑대와 100만 년 전에 갈라졌으니 셋은 의외로 먼 사이다. 개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
인간
이 유전자를 좌지우지할 수 있을 만큼 코요테를 이해하고 있을까. 혹은 몰라도 복제 코요테를 탄생시키는 데 아무 문제가 없는 걸까. 문득 ‘동물을 안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궁금해진다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었다. 이때 TLR을 발견해 선천성 면역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람이 호프만 교수다. 그는
인간
과 비슷한 선천성 면역계를 가진 초파리에 주목했다(초파리는 후천성 면역계가 없다). 생김새를 결정하는 유전자인 톨(Toll) 수용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초파리는 아스펠로길루스(Aspergillus fumigatus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비슷하다.따라서 뇌의 입장에서 어린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은 전두엽의 발달로
인간
적인 성숙미가 더해지는 과정이다. 나이가 들면 신경세포를 잃는 것을 피할 수 없지만 성장하고 나이를 먹는 과정에서 전두엽을 살찌우고 보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내실 있는 뇌를 만들기 위해서는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