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원
출생
출현
근원
출처
원천
발단
d라이브러리
"
발생
"(으)로 총 7,859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변화하고 있다. 그러다가 카타스트로프 지점에 이르는 순간, 빙하가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
하는 것이다. 빙하는 80%가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이런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다. 빙하학자들은 빙하가 녹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활용해 빙하가 뒤집어지는 시점을 분석했다.이번에는 ... ...
부도리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키워드 ➍ 온실효과대기 속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 기온이 올라가는 ‘온실효과’가
발생
한다. 일종의 대기오염이지만 또 한 번 닥친 냉해 앞에서는 오히려 득이 될 수 있다.이 사실을 깨달은 부도리의 선택은?2013년 1월 31일 대개봉! 미야자와 겐지의 원작 ‘구스코 부도리의 전기’영화 ‘부도리의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뉴스에서 노로바이러스와 겨울 식중독이라는 단어가 심심찮게 들려온다. 주로 여름에
발생
하는 식중독이 때 아닌 겨울철에 유행하면서 매스컴이 시끌시끌하다. 특히 영국은 노로바이러스가 빠른 속도로 번지면서 작년에 비해 감염자가 63%나 증가했다. 일본도 노로바이러스로 노인 9명이 사망했다.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재판에서 검사의 오류뿐 아니라 다양한 증거가 가지는 확률을 무시하는 오류가 자주
발생
한다고 주장했다.에헴! 최종 판결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확률과 통계는 이처럼 일상생활의 사소한 결정뿐 아니라 중요한 재판의 판결까지 좌우하는 근거로 쓰이곤 한답니다. 마치 양 날의 검처럼 제대로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만약 이런 규모의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한다면, 지구 전체를 덮을 만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
한다. 이홍주 : 박사님, 이번에 지구 가까이에 접근한 ‘아포피스’는 지구와 얼마만큼 떨어져 있었나요? 그리고 천문학자들은 이런 정보를 어떻게 얻을 수 있나요?최영준 박사 : 천문학자들은 수학과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것일 수도 있고 가축과 가금류의 치명적 전염병은 집단밀식과 단일품종교배 때문에
발생
했다고 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지구생태계가 오랜 세월을 거쳐 서서히 변해서 현재의 모습을 이룬 것처럼, 앞으로도 지구 환경뿐만 아니라 생태계도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할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완전채식인(비건), 채식인(락토오보)로 나눈 뒤 5.2년 동안 칼슘 섭취량과 뼈 골절 사고
발생
률을 조사했다. 그 결과 칼슘 섭취량은 완전채식자부터 락토오보, 페스코, 육식자 순으로 높아졌다. 채식인의 칼슘 섭취가 적었던 것이다. 더구나 육식인과 완전채식인은 섭취량이 무려 15%나 차이가 났다.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강한 옥수수를 쥐에게 2년 동안 먹였더니 쥐에서 종양을 비롯한 각종 장기 기능 이상이
발생
했다고 밝혔다. 또다시 GMO에 대한 논란이 강하게 일어났다. 우리나라는 이미 이 GM 옥수수를 2002년부터 식용으로 수입하고 있다. 수입되는 식용 옥수수의 절반이 GM 옥수수다(2011년 기준).아직 안전성 평가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목표에 이르면 각자가 맡은 표적을 파괴한다. 편대 무인기 일부가 피격되거나 문제가
발생
하면 남은 무인기들이 유연하게 스스로 임무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이런 임무는 이미 알려져 있는 지상 목표물에 대한 공격으로 매우 단순하다. 하지만 개전 초기에 무인기 대신 유인전투기를 투입한다면 큰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발달한 둘째 주부터 활발하게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
했다. 새끼 늑대는 이미 냄새가 익숙해진 대상이라도 청각과 시각이 발달하면 또 다시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결국 새끼 늑대는 낯선 대상에 익숙해지는 데 강아지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