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과학대중화에 헌신하고 있는 서울대 최재천 교수를 소개하면서 사이언스나 네이처에
논문
을 발표하는 것만큼 중요한 과학자의 일을 하고 있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연구 업적을 기준으로 이런 노력이 폄하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황 교수의 연구실에는 일년 내내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할애하고 나중에 가서야 연구의 목적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서양 학생들의
논문
에서는 처음부터 단도직입적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이라고 시작하는 문장이 심심찮게 등장한다. 뿐만 아니라 서양과 달리 동양의 종교에는 유일신 사상과 같은 배타적인 논리보다 모든 종교는 서로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결정을 만들게 조작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미국재료학회지’에 주목할
논문
으로 소개돼 관심을 끌었다.양 교수는 “광결정이 실용화되려면 제조에 큰비용이 들지 않아야 한다” 며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고 말했다. 그렇다면 굳이 광결정을 만들게 아니라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서울대 의대 문신용 교수)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지난해 2월부터 5월까지 진행됐다.
논문
의 저자들은 서울대 수의대와 의대, 농업생명대, 한양대 의대, 가천의대, 미즈메디병원 의학연구원 등 소속이 다양했다. 한양대 의대는 난자 채취를 담당했으며 미즈메디병원과 가천의대는 줄기세포 배양에,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출전이 결정됐다. 경남과학고 김종욱 외 2인의 연구도 올해 안에 과학기술
논문
색인(SCI) 등재저널에 발표될 예정이다.넘어야 할 산 많아이번 과제에 참여한 학생과 교수, 전문가들의 긍정론에도 불구하고 고교생 연구가 대중화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이상천 교수는 “교육과정에서 실험실습을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등 쟁쟁한 수학자들이 여러명 포진해 있다.김 박사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수학부문
논문
상인 ‘풀커슨 상’을 1997년에 받아 세계적인 수학자 반열에 올랐다. 풀커슨 상은 미 전산수학학회와 수학회가 3년마다 주는 상. 보통 한번에 2-3명을 시상하는데, 김 박사는 단독으로 수상했다. 지금까지 총 ... ...
로봇 과학자 탄생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빵을 만들 때 쓰는 효모의 특정 유전자 기능을 로봇이 실험을 통해 찾아냈다고 밝혔다.
논문
에 따르면 로봇의 연구 결과는 과학자들이 수행한 실험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이번 연구를 수행한 로봇은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계획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과 실제 실험을 수행하는 자동기계가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제록스 팔로알토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와이저 박사는 ‘21세기의 컴퓨터’라는 자신의
논문
에서 “미래의 컴퓨터는 지금처럼 독자적 형태의 컴퓨터가 아닌 사람이 그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는 형태로 생활 속으로 들어간다”고 미래의 컴퓨터 환경을 예상했다. 모든 사물과 공간 안에 컴퓨터가 ... ...
꽃피는 시기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유전자 역시 같은 메커니즘으로 FLC의 활동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내 같은 날 네이처에
논문
을 발표했다. 성씨가 밝혀낸 VIN3 유전자는 마치 스위치를 끄듯 FLC의 활동을 처음으로 막는 역할을 하며 영국 연구진이 밝혀낸 두 유전자는 이 상태가 지속되도록 만든다.옛소련에서는 겨울의 기온이 너무나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예술과 과학’ ‘신주무원록’ ‘살인의 진화심리학’ 등 그동안 김호 박사가 낸
논문
과 책을 살펴보면, 역사학을 바탕으로 과학과 의학 분야를 수시로 넘나들며 연구에 몰두해 왔음을 알 수 있다.지난해 번역된 ‘신주무원록’은 그의 문제의식을 가장 잘 보여주는 책이다. ‘신주무원록’은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