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 특성에 따라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다. 기원전 4000년 무렵 발명돼 인류 최
초
의 문자로 추정되는 수메르글자의 경우 오늘날 한자처럼 뜻글자다. 따라서 수메르 글자를 습득하려면 수년 동안 집중적으로 배워야 했기 때문에 소수의 사람만이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반면 로마자나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능력으로 봤을 때 두 제품의 성능은 서로 비슷하다”고 설명했다.우리나라도 지난 9월
초
신종 플루에 대비한‘방역용 마스크’ 규격인 KF94 등급을 마련하고 이를 통과한 4개 제품을 선정했다. 이 제품들은 액상 파라핀 오일 차단 시험을 통과했기 때문에 고체와 액체 모두 94%까지 막아낸다. ... ...
'
초
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성에 대한 욕구가 말라버린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큐피드의 화살에
초
식남과 건어물녀 몸속 어딘가 숨어 있던 연애세포들이 다시 분열할 날이 올 거란 얘기다 ... ...
팔방미인 과학실험 장비 ‘HBL’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경우에는 0.005
초
면 충분하고 동시에 세 가지 물리량을 측정할 경우에도 측정시간이 0.05
초
를 넘지 않는다.센서가 측정한 물리량은 전기신호로 변해 HBL에 내재된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고, HBL은 전기신호를 분석해 해당 물리량의 단위로 환산한다. 이렇게 환산된 데이터는 LCD 화면에 수치와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땅 속에 있던 탄소는 화석연료로 쓰인 뒤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대기에 존재한다. 20세기
초
인간이 대기 중에 있는 질소를 고정하는 방법을 개발한 후, 질소 비료는 거름을 대신하게 됐고 대단위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 농장에 뿌려진 질소 비료 중 일부는 대기의 산소와 반응해 산화질소가 됐다.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결국 100살 가까이 살았다. 수학은 곧 장수의 비결인가?우리는 타고난 수학자 1990년대
초
미국수학교사협회는 수학자와 심리학자와 함께 수학적 소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네 가지 능력만 있으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 네 가지 능력이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아무 어려움 없이 해내는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훌륭한 과학자’를 길러낼 수 있는 안성맞춤 코스란 얘기다. 단결정은행은 1997년부터
초
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년 부산대에서 ‘한국결정성장대회’를 연다. 매년 4월 서울대와 부산대에서 설명회를 열고 참가신청을 받는다. 필요한 시약 목록과 결정 만드는 방법도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과학수사센터에서 프로파일링을 하는 권일용 경위다. 그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
까지 우리나라를 공포에 빠트렸던‘화성연쇄살인사건’ 수사가 실패한 일을 교훈 삼아 홀로 범죄심리학 책을 읽고 미국 FBI의 프로파일링 훈련교본을 공부했다.그는 두 번 다시 화성 연쇄살인사건 같은살인마의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박사과정 이주영 씨는 “
초
굴절 현상을 통해 렌즈 표면과 가까운 근접장 영역에서
초
점이 형성돼 확대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며 “나노렌즈는 근접장 빛인 소멸파가 지닌 물체의 미세 구조 정보를 원거리장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아베의 법칙에 따르는, 즉 고전적인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 교수의 모습에서 퇴임을 눈앞에 둔 원로학자의 모습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1980년대
초
인지과학이라는 낯선 분야를 한국 학계에 소개한 그에게 퇴임을 앞두고 아쉬운 점은 없는지 물었다.“여기저기 강연을 다니다 보니 국내에 연구기관이 참 많더군요. 이름도 생소해 뭘 연구하는지 몰랐던 곳도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