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또 UN전문기구인 WIPO(세계지식재산권기구)와 공동으로 글로벌 지식재산을 선도할
초
일류 대학생 인재를 양성 중이다.국내 대학에서 영어로 진행되는 글로벌 지식재산권 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학생은 스위스 제네바 등에서 실시하는 지식재산권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전 세계 인재와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자동차를 보고 피하라는 뇌의 명령을 받아 몸을 움직이는 데 최소 0.1
초
가 걸린다. 0.1
초
면 시속 60㎞로 달리는 자동차가 1.7m를 달려오는 시간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멀리서 차를 발견하면 그만큼 피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명예기자 설문조사 2⃞ 편할 때 나오는α파!좌측보행과 우측보행 중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장파장용 광섬유를 개발하는 업적을 남겼다.생활 속에서 실제로 광섬유가 쓰이는 예는
초
고속 인터넷 외에도 무수히 많다. 장거리 음성 통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도, IPTV(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를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는 것도 모두 광통신 기술이 뒷받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현재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우주개발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을 지속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NASA 국장으로는 최
초
의 흑인인 그는 10년 전 군인 신분으로 합동 군사훈련을 치르기 위해 한국에 방문한 적이 있다. 볼든 국장은 “우주개발을 하려면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에게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도 필요하다”며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탐사구역에서 시료를 채취할 지점을 찾아야 한다. 이번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초
에 있을 탐사에서는 본격적으로 해저 시료를 채취해 열수광상 개발의 경제성을 검토하게 된다.정오가 지나 부두에 검은 리무진이 들어섰다. 전남진 주피지 대79사가 격려차 온누리호를 방문한 것. 전 대사는 2년 ... ...
'엽기노벨 수학상'이 선택한 100조 달러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극복시킨 공로를 높이 평가해 수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짐바브웨는 올해
초
100조 짐바브웨달러를 1달러로 낮추는 개혁을 실시해 돈 잔치를 끝마쳤다고 합니다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장면 찍기 동작에 맞춰 캐릭터를 조금씩 움직이며 계속 사진을 찍는다. 현서와 예린이는 5
초
분량의 애니메이션을 위해 30장이나 사진을 찍었다. ➍ 소리 녹음하기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맞게 소리를 녹음한다. ➎ 완성 사진과 소리를 동영상으로 만드는 프로그 램을 이용해 편집하면 애니메이션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주어진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방법은 그 수의 제곱근보다 작은 수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1
초
에 100만 번 계산할 수 있는 컴퓨터로 계산하면 30자릿수는 1일, 40자릿수는 100만년, 50자릿수는 우주의 역사보다도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니 RSA 암호를 해독하기란 만만치가 않다.도넛암호라 불리는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따라 아킬레스가 거북을 언제 따라잡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보자. 달리기를 시작한지 1
초
가 지나 아킬레스가 10m지점에 왔을 때, 거북은 10+1=11m에 도착한다. 1.1
초
뒤라면 아킬레스는 11m, 거북은 10+1.1=11.1m에 가 있다. 조금만 시간을 더 보태면 따라잡을 수 있을 것 같다. 만약 1.11
초
뒤라면 아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아름다움을 느낀다. 이런 도형은 드물어 특별히 선대칭 도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초
등학교 때는 직선이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가를 따지지 않는다. 중학교에서는 그 직선을 ‘식’으로 표현하고, 직선을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옮기느냐에 따라 이 직선이 지나는 점들이 달라진다.따라서 직선의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