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조금 수리해서 재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구하기 쉬워야 한다.플린트는 이 모든 조건을 다 갖춘 광물이다. 상대굳기가 7로 매우 단단하고, 입자가 고우면서도 다공성이라 벽개성(충격을 주면 일정 형태로 쪼개짐)이 없고 튼튼하다. 크기도 큰 자갈 만해서 쥐기에 좋다. 숙련이 필요하지만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멜라노좀은 멜라닌 색소를 만들고 저장하는 기관이다. 멜라닌 색소는 오늘날 거의 모든 동물의 눈에서 발견되는데, 안구 안쪽에서 빛의 반사를 차단해 상을 명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연구팀이 멜라노좀을 좀 더 확대해 분석하자, 결정적인 특징이 드러났다. 두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하면서 건물을 나서는 장면에서는 나도 모르게 화면을 향해 탄식하기까지 했다.이 모든 장면을 옆에서 지켜 본 아버지는 결론을 내리신 듯 보였다. 아버지는 다음 날 아침 식사로 우유를 마시다 말고 갑자기 나에게 말했다.“좋아하는 여자 있으면 좋아한다고 말하는 거야. 어릴 때 그런 소리 해야 ... ...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사생활 정보 삭제 요청을 받으면 정보통신보안법 443조 2항에 따라 삭제해 준다. 그러나 모든 사이트가 가능한 건 아니다. 다른 게시판에 써 놓은 글을 그대로 복제해 놓는 ‘세이브일베’와 같은 미러링 사이트는 삭제요청을 잘 받아주지 않는다. 간혹 요청을 들어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1을 넣을 거야. 그룹을 만드는 걸 군집화, 새로운 사람을 그룹에 넣는 걸 분류, 이 모든 과정을 통틀어 ‘협력 필터링’이라고 해.협력 필터링에는 ‘콜드 스타트’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 그룹으로 분류하려면 사용자의 정보가 많이 필요해서 신규사용자에겐 먹통이야. 또 신곡은 사람들의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올리고 최초로 인간을 우주로 보내자 미국은 우주 개발 연구에 모든 자원을 쏟았다. 이제 여성 컴퓨터들은 우주선이 포물선을 이루며 올라갔다가 대서양으로 안전하게 내려오는 궤도를 계산해야 했다. 그중 가장 돋보인 건 캐서린 존슨이다.캐서린은 해석기하학★에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2단계 반드시 가짜 왕자가 깨어나는 실험이번에는 ‘실험 B’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모든 조건은 실험 A와 같되 주사위의 눈이 홀수가 나오면 월요일 아침에 반드시 가짜 왕자만 깨우는 실험입니다.이때 실험 A에서 깨어난 왕자의 답이 뭔지는 알 수 없어도 그 답이 실험 B에서 깨어난 왕자의 답과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앞서 해결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역설적이게도, 인공지능을 두려워한 인간만이 모든 역설을 정복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순이냐 진리냐? 역설 정복의 꿈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원리’가 적용될 때다. 해녀와 스쿠버 다이버를 포함해 해산물 채취를 원하는 모든 사람이 각자 원하는 만큼 해산물을 전부 수확할 수 있다면 최상의 결과다.그런데 이것은 수학적으로 불가능하다. 헝가리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게임이론과 경제행동’에서 수학적으로 두 개 이상의 변수를 ...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받았다. 양자역학은 확률의 과학이다. 모든 게 결정이 됐던 기존의 물리학과 다르게 모든 게 확률로 돼 있는 것이다. 미국의 위대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하지만 아직 양자역학보다 미시세계를 잘 설명하는 건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