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둘러 묶으려면 이 지구의 지표면이 지금보다 얼마나 더 솟아올라야 할까?(단, 지표면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솟아오르며, 리본을 묶는 부분의 길이는 무시한다.) 세 번째 문제 감자 튀김을 판매하는 햄버거 가게 주인이 감자 100kg을 샀는데, 감자의 수분 함유율이 99%였다.이후 감자가 말라서 수분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앞서 해결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역설적이게도, 인공지능을 두려워한 인간만이 모든 역설을 정복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순이냐 진리냐? 역설 정복의 꿈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읽을 책이나 듣고 싶은 라디오 채널을 고르는 행동부터 유전자의 선택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선택을 설명할 수 있었다. 1세기에 걸친 진화생물학 역사를 통틀어 그 어떤 학자도 생각하지 못한 경이로운 등식이었다.1968년 9월, 프라이스는 미국에 있는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냈다. 『아주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경분의 1수준밖에 안 되는 초고진공 상태, 모든 것을 얼려버릴 듯한 영하 270℃ 안팎의 극저온. 바로 양자물질이 사는 극한 환경이다. 1차원과 2차원, 3차원 양자물질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성과를 낸 국내 연구팀 세 곳을 찾았다.4진법 컴퓨터의 열쇠로 떠오른 원자선“그냥 눈으로 봤을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대의 모든 나라에는 그 나라를 상징하는 노래(국가)가 있다.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모든 의식에는 그 의식을 대표하는 음악이 흐른다.음악은 집단 내부를 통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집단과 집단 간의 통합도 가져다 준다. 컨트리, 블루스, 랩 음악은 인종과 계층을 통합했다. 19세기 중반, 미국 노예 ...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보자. 사방에서 나타나는 적을 빠르게 조준하려면 마우스가 움직이는 범위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조준점을 옮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마우스 패드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움직였을 때 조준점이 한 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오는 값이 적당하다. 프로게이머들은 감도가 낮으면 속도가 느린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올리고 최초로 인간을 우주로 보내자 미국은 우주 개발 연구에 모든 자원을 쏟았다. 이제 여성 컴퓨터들은 우주선이 포물선을 이루며 올라갔다가 대서양으로 안전하게 내려오는 궤도를 계산해야 했다. 그중 가장 돋보인 건 캐서린 존슨이다.캐서린은 해석기하학★에 ...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현실을 보여주는 힌트다.다가오는 5월 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열린다. 만 19세 이상인 모든 국민이 한 표씩 행사하고,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 한 명이 대통령이 된다. 그런데 이런 단순한 최다득표제로는 국민의 선호도를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한다.예를 들어, 세 후보 A, B, C가 출마한 선거에서 ... ...
- [과학뉴스] 환경건강전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NIH),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통해 발행되며, 2013년 1월부터 온라인으로만 발간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무료로 읽을 수 있는 오픈 액세스 저널이다.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임팩트팩터(IF)는 2016년 기준 8.44로 높은 편이다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가진 고유한 생체반응을 이용해, 장미 자체를 전기 소자로 만들었다.이번 연구에서 모든 기관에 ETE-S를 주입할 수 있었던 것은 식물의 모세관 현상 덕분이다. 작은 분자로만 존재하는 ETE-S가 장미 안에서 고분자로 결합할 수 있었던 것 역시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 덕분이었다.이런 ‘전기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