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
과학동아
l
200102
눌린 꼴의 원이 4줄로 형성돼 있으므로 4줄x24칸=원형 벽돌 96개. 모든 원형 벽돌은
아래
에서 올려봤을 때 정확한 비례로 눌려 보여야 한다.원을 누르는 방식은 의외로 간단하다.1. 먼저 가로 세로가 똑같은 정방형 abcd를 그린다. 정방형의 한변 길이는 인접한 종선 둘을 연장했을 때 제일 바깥 모눈의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02
내려갔는데도 불구하고 얼지 않고 액체로 남아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처럼 빙점
아래
에서 물이 여전히 액체 상태로 존재할 경우를 ‘과냉각수’라고 한다.어떻게 과냉각수가 존재할 수 있을까. 0℃가 물의 어는점이라고 어릴 적부터 알고 있었는데, 잘못된 지식이었을까. 그렇지는 않다. 온도가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01
작게 끝을 날름거린다. 또 외국의 방울뱀 같은 종류는 머리 위에서 턱
아래
쪽으로 크게
아래
위로 흔든다.자식 사랑 끔찍한 비단구렁이뱀은 냉혈동물(체온이 일정치 않고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하는 동물, 변온동물이라고도 한다)이다. 우리는 이 사실 때문에 뱀이 매몰차고 냉정하며 자식에 대한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01
한창인 그의 작업실을 찾았다.2000년 12월 17일 목성의 가장 큰 위성 ‘가니메데’의 표면
아래
에 소금물 바다가 존재한다는 흥미로운 소식이 전해졌다. 이 말은 곧 지구 외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하기 때문에, 이번 발견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그런데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01
보이고 온 천지가 밀림으로 지평선에 닿아 있다.차는 한참을 굽이돌아야 천지 바로
아래
에 도착한다. 천지는 구름에 싸여 자신의 모습을 쉽게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폭포 쪽에서 올라오는 바람도 구름과 섞여 함께 오르고 있다.아! 백두산! 천지를 보지 못할 지라도 그렇게 그리던 백두산에 오른다.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01
던지는 순교 행위로 추앙됐다.벨라스케스의 작업실은 국왕부처가 기거하던 침실 바로
아래
층이었다고 한다. 가끔씩 들러서 화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격려도 했다. 군주가 예술가를 방문해서 어깨를 두들기는 일은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화가 아펠레스를 찾은 게 처음이었다. 르네상스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01
그래서 해가 진 직후 금성의 고도는 약 40°나 될 만큼 높아서 밤 9시 반경에야 지평선
아래
로 사라진다. 이때 망원경으로 금성을 본다면 거의 반달모양이다. 밝기는 -4.5등급.금성은 한밤중 밤하늘에서는 볼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01
내려가 동지때는 거의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지게 된다. 이것을 천구에서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다.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A다. 해가 뜨는 곳이 매일 조금씩 변하기는 하지만 하루 만에는 별로 표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 한달 전에는, 즉 5월에는 틀림없이 해가 더 남쪽에서 떴을 것이다.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01
작아지게 돼 호흡 효과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구들 난방법은 바닥을 데우는 것이므로
아래
공기가 따뜻하고 위 공기가 차다. 건강에도 좋은 난방법인 것이다.현재는 시골에나 가야 아궁이나 굴뚝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집안의 난방법이 바뀌었다. 그러나 방법은 바뀌었어도 아직까지 우리는 바닥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01
막대간 거리의 곱을 나뉨수로 삼아서 나눠주면, 곧 남쪽 막대로부터 남쪽의 해 바로
아래
에 있는 곳까지의 거리가 된다”고 한 유휘의 말과 정확하게 일치함을 알 수 있다.세계최초로 행렬식 개발한 일본인개개인이 자라나면서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은 상당한 정도까지 인류문명이 낳은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