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04
해당하는 여섯개의 별이 좌우가 바뀐 물음표 모양을 하고 있어서 찾기 쉽다. 물음표 맨
아래
의 별이 사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레굴루스다. 두번째로 밝은 데네볼라는 사자의 꼬리에 해당하는데, 사자자리 맨 왼쪽에서 다른 두별과 삼각형모양으로 엉덩이와 꼬리를 만들면서 그럴 듯한 사자모습을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04
그는 비둘기를 키우기도 하고, 새장에서 새와 함께 자거나, 날개를 만들어 언덕
아래
로 뛰어내리기도 했던 순진한 청년이었다. 그러나 전쟁에서 광기 어린 살인과 전쟁의 비인간성을 경험하면서 충격을 받고, 전쟁후 증후군에 시달리며 정신병동에 갇히게 된 것이다. 하늘을 날고 싶어했던 버디를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04
꾸준히 동진하므로 어제 달이 밤 8시에 지평선 위로 떠올랐다면 오늘 밤 8시에는 지평선
아래
, 즉 더 동쪽으로 13°쯤 밑에 있다. 이 달이 지평선 위로 떠오르려면 13°× 4분 = 52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이 1시간에 15°를 회전하니까, 1°회전하려면 약 4분 걸리기 때문이다. 즉 달은 매일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03
슛한 공보다 역회전이 덜 걸리는 것으로 추론된다. 그의 공은 링이나 백보드를 맞고
아래
로 떨어지기보다 더 멀리 퉁겨나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드워즈가 슛을 쏘면 상대선수들은 리바운드하기 위해 보통보다 더 먼 위치를 잡는다고 한다.이렇게 볼 때 에드워즈는 남들보다 한 템포 빠르게 슛을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03
지레의 한쪽 끝에 달린 날카로운 침이 표본과 맞닿으면서 표면의 윤곽에 따라 위
아래
로 구부러진다. 이때 구부러진 정도를 지레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의 편향정도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본의 윤곽에 대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그림2).AFM은 물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생체분자를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03
공동수상한 제임스 왓슨. 왓슨박사는 1988년 9월 미국 에너지성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다국적팀의 초대 책임자로 선정됐다. 그는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세계에 홍보하고 필요한 자금을 미국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데 성공했다. 또한 여러 연구소들과 협력하면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기초를 다졌다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03
지난 2월 15일과 16일 네이처와 사이언스의 논문발표는 이런 ‘신경전’의 분위기
아래
에서 이뤄진 일이었다. 2월 12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다국적팀과 셀레라는 발표시간을 서로 길게 갖겠다고 실랑이를 벌였다고 전해진다.유전자 특허 새로운 과제로 부각문제는 이들의 자존심 싸움과는 별도로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보면 우리네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들려주시던 이야기가 절로 생각난다. 계수나무
아래
에서 떡방아를 찧고 있는 옥토끼의 전설. 하지만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달로 향하는 순간 토끼는 사라지고 새로운 달나라가 펼쳐진다.천체망원경으로 달 표면을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수한 크레이터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03
또다른 장비인 감마선 분광계가 측정한 자료가 포함돼 있다. 감마선 분광계는 표면
아래
10여cm 깊이까지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현재 에로스 구성물질을 알아내기 위해 감마선 분광계 자료를 분석중에 있다. 또 어떤 결과가 나올지 기다려진다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03
같은 내용이 적혀 있다. 영성은 물론 영험한 별이란 넓은 의미가 아니라, 여름밤 견우별
아래
에 보이는 천전성(天田星)을 가리키며, 옛 사람들은 이 별이 농사에 영험함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했다. 별에 대한 제사는 영성에게만 지내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고구려 사람들은 별들에게 제사를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