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녹색기술센터, 글로벌녹색성장기구와 협력 MOU 체결동아사이언스 l2014.08.20
- “기후변화, 에너지 및 식량 안보, 생물 다양성 등 다양한 이슈에 있어 기술은 우리가 당면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GTC 성창모 소장은 기후변화 대응 및 녹색 기술 분야에 있어 양 기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GTC와 GGGI의 협력에 기대를 표했다 ...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2014.08.18
- 좀 아는 사람들은 이런 의문이 들 것이다. 맞는 말이면서 동시에 틀린 말이다. 지금 우리가 얘기하는 건 화학이 아니라 ‘화학산업’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화학실험실에서 성공한 반응이라도 경제성이 떨어지면 말짱 꽝이다. 메탄에서 수소를 만드는 게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얻는 것보다 훨씬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④] 첨단 지열발전 시스템, EGS동아사이언스 l2014.08.11
- 위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EGS 요소 기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 가정에서 지열로 난방을 하고, 지열로 생산된 전기로 밥을 짓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글쓴이] 이태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연구실 책임연구원 ※출처 : 아톰스토리 '에너지자료'(http:/ ...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KOITA l2014.08.08
- 과거엔 돼지기름을 직접 발랐고 지금은 화장품의 형태로 바른다. 하지만 효과는 다르다. 우리의 피부는 외부자극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웬만한 물질은 잘 통과하지 못하도록 층층이 복잡한 구조의 장벽을 마련해 놨기 때문이다. 현대 화장품은 입자의 형태를 피부와 같은 라멜라 구조로 ...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IBS l2014.08.06
- 제약사들은 활발히 움직이고 있어요.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이 완전히 바뀔 겁니다. 우리 몸의 유전자뿐 아니라 가축, 농작물, 어류, 애완동물의 유전자도 교정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질병 치료보다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데 먼저 쓰일 겁니다."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이 바뀔 때 IBS ... ...
- 뇌의 두 가지 지도, 정원과 도시IBS l2014.08.05
- 연결되어 있다. 대뇌 전체로 보면 약 150조 개의 시냅스가 있다. 1000억 개의 별이 있는 우리은하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별 자체가 아니라, 별과 별을 잇는 150조 개의 미세한 끈이 주인공이라면 더더욱 난해해진다. 뇌의 지도를 그려라! 뇌 지도에도 축적이 있다. 뇌를 ...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2014.08.04
- 확산되면 그 공포와 혼란을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있는 매뉴얼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우리로서는 미국 같은 결정을 내린다는 건 너무 위험한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책을 보면 1976년 당시 영국 포턴다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사고가 실제 발생했는데, 그 과정이 정말 영화속의 한 장면이다.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③] 땅속의 무한 에너지, 지열동아사이언스 l2014.08.04
- 적절한 투자와 지원, 연구개발이 이루어진다면 1차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자립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쓴이] 이태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연구실 책임연구원 ※출처 : 아톰스토리 '에너지자료'(http://atomstory.or.kr/p/38423/) 아톰스토리 ...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 전자와 묶이는 질환이다. 많은 사람들이 후자와 묶인다고 생각하고 있었을 텐데 그만큼 우리들이 뇌전증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나이지리아에서 의료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6%가 뇌전증을 정신질환이라고 대답했고 심지어 6%는 전염성이 있다고 답했다. 이런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②] 바다로부터 얻는 청정에너지, 조력․조류와 파력동아사이언스 l2014.07.28
- 상용화까지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2015년경에는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시작될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진동수주형 용수 시험파력발전소 건설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점차 확대되는 해양에너지 개발 에너지를 둘러싼 환경 변화로 인해 해양에너지 개발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