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반도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는 3
0
명 수준이고 연간 연구비도 3
0
억 원이 고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 ...
‘지방맛’ 둔감하면 살찐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발행된 ‘영양학저널’ 3월호에 소개했다. 연구팀은 남녀노소 31명에게 지방 함량이
0
~1
0
%로 서로 다른 우유를 맛보게 한 뒤 자극을 받은 정도를 조사했다. 대다수 참가자들은 지방을 포함한 우유와 포함하지 않은 우유를 쉽게 구별했다. 하지만 지방이 많고 적음을 구별하는 능력에서 차이를 보였다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유명한 경북 울진 소광리 지역에 ‘금강소나무숲길’ 2
0
km를 조성했다. 지리산 외곽에도 5
0
km의 숲길을 추가로 개통했다. 전체 구간이 완성되면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걸어서 백두대간까지 갈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
0
명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영국의 진화심리학자 로빈 던바는 ‘인간의 두뇌가 관리할 수 있는 친구의 수가 15
0
명 정도’라는 이론을 1992년 발표했다. 던바가 말한 친 ... 온라인 게임 디자이너를 위한 지침서에 따르면 길드와 커뮤니티 모두가 구성원이 25
0
명을 넘어가면 내부에 소규모 그룹들이 다시 형성된다고 한다 ... ...
CSI 수사체험 ‘피의 흔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가까운 병원의 도움을 받는다). ②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혈구와 혈장으로 분리한다(5
000
rpm으로 5분간 분리한다). ③ 스포이트로 혈구와 혈장을 각각 다른 페트리디시에 놓고 각각에 루미놀 용액을 분무해 반응을 관찰한다. 피의 성분 중 루미놀과 반응하는 것은 헤모글로빈이 들어 있는 혈구임을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자유게시판에서 섭섭박사의 동영상을 보고 퀴즈에 대한 답을 덧글로 달아 주세요. 모두 1
0
명을 뽑아 딱과 3종 세트를 드립니다.❸ 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 참여 신청은?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에 참여하고 싶은 친구는 엽서에 정성을 가득 담아 사연을 보내 주세요. 섭섭박사와 함께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스핀들이 자기소용돌이 구조를 이루며 나타내는 업 또는 다운이라는 자기 방향을 ‘
0
’ 또는 ‘1’이라는 정보로 정의하고 이것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연구단은 ‘퍼몰로이’라는 자성물질로 수μm(마이크로미터, 1μm=1
0
-6m) ... ...
지붕뚫고 하이킥의 단짝, 해리와 신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해리의 먹을 것을 뺏어먹는 것으로 고친 뒤 문제를 풀었어요. 그 결과 해리는
0
점에서 8
0
점이 됐죠. 특히 해리가 가장 좋아하는 갈비를 이용해서 뺄셈 공부를 했더니 효과 만점 ...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1.4m라고 한다. 1.4m보다 수심이 얇은 곳도 있고 높은 곳도 있다. 1
0
m마다 잰 강의 수심이 1.
0
m, 1.2m, 1.4m, 2m, 1.4m라면 이 강의 평균 수심은 1.4m지만 수심이 2m인 곳에서는 병사들이 빠져 죽을 수도 있다.✚평균의 허점은 산포도로 해결! 산포도는 자료가 평균에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수로 표현한 값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산술’에서 무한대를 나타내는 기호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이 기호는 로마 사람들이 1
000
을 나타낼 때 종종 사용했다. 그래서 매우 큰 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다가 점차 무한대를 나타내게 됐다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