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 115, 116, 118인 원소를 잇달아 만드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번에 117번이 확인됨에 따라, 2000년 확인된 116번과 2002년 확인된 118번 사이의 빈자리가 채워진 셈이다. 연구자들은 5개월 동안 초당 7조 개의 칼슘-48 이온을 버클리움-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
- iPad 열풍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시야각을 178˚까지 확보 가능. ● 저장용량 : 16GB/32GB/64GB 메모리 ● 배터리 : 리튬폴리머(10시간 사용) ● 통신 : 3G, 무선인터넷(Wi-Fi), 블루투스 ● 모양과 크기 : 모양은 아이폰과 흡사. 화면 크기만 보면 아이폰이 8.9㎝(3.5인치)인 반면, 아이패드는 이보다 3배 가까이 큰 24.6㎝(9.7인치) ● 모델(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회로망을 갖고 있다. 즉 뇌 안에서 가장 기본적인 수준이 미니컬럼으로 돼 있고 이 안에 100여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결국 미니컬럼이 뇌의 논리회로인 셈이다. 따라서 그보다 아래 수준까지 알 필요가 없다. 단 미니컬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풀어내는 게 숙제로 남아 있다.그래프 이론으로 ...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조직이 많기 때문에 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은 편이다. 예를 들어 어떤 남자의 체중이 70㎏이라면, 몸속 물의 양은 49㎏이다. 이는 2L 생수병 약 24~25개에 해당하니, 우리 몸속 물의 양은 상당히 많다. 참고로 다른 동물이나 식물은 사람에 비해 체중에서 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은데, 전체 무게에서 ...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수 있던 신호는 오차범위 300m 정도였다. 지금처럼 오차범위 20m 수준까지 줄여준 것은 2000년 5월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민간 GPS 사용에 대한 정책 덕분이다. 러시아도 푸틴 대통령이 2007년에 누구나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현재 GPS를 가진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뿐이다. 하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계산으로 증명하는 식이다. 이 교수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생물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정확하게 이등변삼각형을 이루고 있다는 거죠.아직 놀라긴 일러요. 하나의 잎을 기준점 0으로 두고 잎의 순서를 따지다 보면 3, 5, 8, 13, 21번째의 잎이 기준으로 정한 잎에 점점 가깝게 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이것은 바로 ‘피보나치 수열’이랍니다. 앞의 두 수를 더한 값이 그 다음 수가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하여 왼쪽으로 갈수록 10배씩 커진다. 222에서 2는 모두 똑같은 2가 아니다. 이들은 2, 20, 200으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진법에는 십진법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편리하고 실용적인 십진법을 사용해 전 세계 사람이 같은 방법으로 수를 표현하는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유지하고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10대에 친구 맺기 사이트를 잘 활용하던 아이들은 20대 초반에도 나이와 성별, 또는 부모의 경제적인 배경과 상관없이 우정을 잘 이어나가고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이들은 온라인에서의 친구 맺기를 오프라인에서만큼 가깝게 느끼고 이것을 ...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수학동아 l2010년 05호
- 135°로 작아졌다가 138.5°로 커지는 과정을 반복해요. 결국 137.5°에 가까워지죠. 137.5°를 360°로 나누면 0.382가 되는데 황금비의 또 다른 형태랍니다.잎의 개수는 피보나치 수열잎의 개수에도 규칙이 있어요. 표에 나오는 분자와 분모의 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1, 1, 2, 3, 5, 8, 13, … 이 되거든요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