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의 세계, 확률이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되어 있다는 이론으로 일약 유명해진 '보어'는 덴마크로 금의환향하였다. 덴마크의
학술
원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있는 '칼스버그'(Carlsberg) 맥주회사의 회사금으로 '보어 이론 물리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소장인 보어의 저택도 연구소 바로 옆에 마련하여 주었다. 이때부터 저 유명한 코펜하겐 ... ...
백두산의 희귀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백두산에서 자라고 있는 5백여종의 식물중 남한에서 볼 수 없는 것들은 약 50종으로 추산된다.백두산은 우리나라의 가장 높은 산으로서 민족의 ... 홍월귤 들쭉 구름송이풀 석남종류 물이끼 석송 황새풀과 백두사초 등 남부에서 볼 수 없는
학술
식물자원들이 전개되는 것도 특기할만 하다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어떤 일을 주로 하는 곳입니까. "저희가 하는 일은 자연 및 자연자원 보존을 위한
학술
연구사업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자연보존' 이라는 계간지발간이라든가 매스컴 등을 통해 자연보존사상을 국민들에게 널리 고취시키는 일도 많이 하고 있읍니다. 자연환경이나 동식물에 대한 실태조사도 역시 ... ...
아인슈타인은 어떤 사람이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26세 때, 이 특허국의 3급 기사는 놀라운 논문 3편을 독일의 '물리학 연보' 라는 권위있는
학술
지에 발표한 것이다. 이 3편의 논문들이야말로 오늘날 각각 양자물리학, 통계물리학, 상대성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서 어느 한 편만으로도 노벨상을 받고도 남을 만한 가치를 지닌 논문들이었다 ... ...
곧 「인공 씨앗」이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원예작물의 조직배양을 연구하고 있다. 식물조직배양 분야의 발표논문은 60여편.-이번
학술
회의에 참가하면서 느낀 인상과 국내의 연구현황은 어떻습니까."상당히 열렬한 반응을 받았고 발표 때는 젊은 연구자가 많아 생동감이 있었지요. 한국의 학계에서도 우수한 논문이 많이 나오고 있읍니다. ... ...
데이타베이스 컴퓨터 대중화의 기수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필요가 있다.데이타의 공동활용데이타베이스(Data Base)란 용어의 기원은 1962년 미국의 한
학술
회의 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46년 최초의 컴퓨터가 탄생한 후 16년 동안이라는 기간은 데이타베이스를 탄생시키기 위한 잉태기로 볼 수 있다.하나의 프로그램은 자기가 처리해야될 데이타를 수반해서 ... ...
우체국에서 정보센터로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학계, 업계 등에서도 실제로 인기가 높다. 국내외 대학교와 학회 등 각종
학술
단체의 세미니 심포지움에 연사로 초청되면 거절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것은 마음이 약해서라기보다 자신의 갖고 있는 소신을 밝히기 위해서란다.-내년이면 전국의 전화적체가 완전히 해소되고 1가구1전화시대가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실제적인 공학교육이라야-장박사께서는 오랫동안 12개국의
학술
기관과 대학에서 초빙교수 또는 교환교수로 강의와 연구활동을 해오셨지요. 세계의 공과대학을 두루 살피신 셈인데 우리나라와 다른 특징 특히 우리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동구와 소련의 공학교육과 ... ...
달은 45억년전 대충돌로 생겼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주창자이다.달의 기원에 관한 학설의 전환점은 지난 84년 '하와이'의 '코나'에서 열린
학술
회의에서 있었다. 이때 회의에서 대충돌설이 몇번씩 강조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상당히 그럴듯하게 여기게 됐고 이후 집중적인 연구가 계속되었다.아리조나의 '멜로시'박사는 대표적인 회의론자 였다. 그는 ... ...
기초과학 뿌리내려야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왕성한
학술
활동을 펴고 있다. 그는 한국과학기술원과 서울대에서 가진 2차례의
학술
강연과 '고체물리학과 과학기술의 성장'이라는 일반강연을 통해 "과학기술의 성장은 기초과학의 연구가 밑받침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오늘날 손톱크기만한 반도체칩에 수만~수십만개의 트랜지스터가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