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경우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있게 마련이다. 이것은 여자의 경우도 만찬가지로 철저한 성교육이 실시된다.
학술
보고에 의하면 오세아니아의 어떤 부족은 이때 '실제교육'까지 시킨다고한다. 할례로 생긴 상처가 거의 나았을때 중년의 여성성교육자가 오두막에 파견된다. 그리고 소년들은 그녀에게서 동정상실을 배우게되는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조한옥박사팀은 그동안 연구 실험한 것을 지난 7월 10일 개최된 한국위생학회 주최의
학술
세미나에서 발표했다. 여기에는 감자 양파 마늘 등 발아식품향신료 및 건조분말채소류, 건어물, 육류(닭고기 및 어묵)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방사선량을 쪼였을 때 적정보존기간 발아하지 않고 부패하지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두번째이다. 지난 72년 한국자연보존협회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와 공동으로 종합
학술
조사를 실시한 이후 15년만의 조사작업인 셈. 휴전선일대는 인위적으로 훼손된 자연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어떻게 복구되는가 하는 생태연구측면에서 세계 학계로부터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 ...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민족의 영산(靈山) 백두산정에 자리잡고 있는 신비의 호수, 천지(天池)- 광복의 달을 맞아 가슴뭉클한 비경과 자연생태계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천지, 빗물과 약수가 섞인 깨끗한 물 ... 치료효과에서 뿐 아니라 백두산의 화산활동과 천지의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학술
적 가치도 크다 ... ...
「컴퓨터사랑방」설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하며, 이를 신청한 사람중에 시스템공학센터(SEC) 자문위원회에서 승인한다. 사용목적은
학술
연구에 국한하고 정부나 민간차원의 프로젝트수행은 제외된다. 현재 선발된 연구회원은 1백57명. 이들 회원들은 10명 이내의 공동연구자를 추천, 같이 일할 수 있어 실제 이용인원은 1천명 가까이 될 것으로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와 관련한 연구나 보고가 전무(全無)한 실정이다. 정부나 민간차원에서도
학술
·연구기관이나 매스컴에서도 석면공해는 아무런 관심을 끌지도 못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석면공해의 심각성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75년 이후 12년간 전국 주요 일간지에서 석면과 관련한 기사를 다룬 신문은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의식이 있어 연구관심의 폭도 넓다. 따라서 박사에 대한 평가를 출신지보다는 권위있는
학술
지에 실리는 논문의 수와 질로 하는 게 온당하다는 지적은 설득력이 있다고 하겠다. 연구원의 세가지 계층 연구소의 주인이라 할 연구원에는 크게 3가지 계층이 있다. 제일 위에 있는 책임연구원은 연구를 ... ...
호남지역 유일의 한의대로 인기높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신입생 정원이 1백명인 것에 비추어 상당히 많은 학생들이 학과수업 이외에도 관련
학술
서클을 통해 한의학 지식을 넓혀가고 있는 셈이다. 이밖에도 캠퍼스내에 국내대학으로는 최초로 약초원을 2년전부터 만들어오고 있다. 이것이 완성되면 한의대생들이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각종의 ... ...
인공지능의 국내 개발 씨앗은 이미 뿌려졌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연구회는 7백여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매년 2회의 정기
학술
발표회, 수시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고 년 4회의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인공지능 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과학기술처는 과학재단 등의 연구지원단체를 통해서 기초 연구를 지원하고 또 ... ...
초전도 현상이 실온에서 가능할까? 뜨거운 온도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소련에서는 지난 4월4일 절대온도 2백50도에서 성공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때 소련
학술
원은 이것이 세계 최고기록이라고 주장했다. 국내에서도 3월에 들어와 서울대 자연대 물리학과 김 정구 교수팀과 부산대 장 민수 교수팀이 각각 절대온도 55도와 2백도에서 초전도가 일어나는 물질을 만드는데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