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자체의 불확도가 영(0)인 셈이다. 인류가 미터를 발명한 역사와 미터를 정확히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몸의 일부로 단위를 만들다역사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길이의 단위는 ‘큐빗(cubit)’이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팔꿈치에서 가운데 손가락 끝까지의 길이를 1 큐빗이라 정의했다. ... ...
- [Culture] 아미노기와 카르보닐기의 만남 커피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향을 가지기 위해서는 원두를 고온에서 볶는 과정(로스팅·roasting)이 중요합니다. 로스팅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원두에 직접 열을 전달해 볶는 ‘드럼 로스팅’이 있습니다. 이 방식은 원두에 열을 직접 가해 ‘다크 로스트(짙은 갈색을 띠도록 원두를 볶는 것)’를 하기에 좋습니다. 약 220도의 ... ...
-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생각되는 수를 나눈 지수이고, 근사개체수는 링컨지수를 통계적으로 조금 수정해 보완한 방법입니다. 수학 이용한 수사, 실제로도 도움 될까?201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경찰서는 전반기 동안 풋힐즈 구역에서 발생한 절도가 전반기보다 25%적었고 전체 범죄는 13% 줄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주변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제약을 무시한다면 SF에서처럼 행성이나 항성 단위로 파괴의 규모를 넓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상상할 수 있다. 중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면 소행성이나 위성을 끌고 와 행성에 충돌시켜 버릴 수도 있다. 적의 행성을 원래 궤도에서 빗나가게 해, 얼어붙거나 불타서 생명체가 살지 못하는 곳으로 ... ...
- Part 2. 도시공원은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원이 사라지면 동물들이 슬프겠지만, 인간은 큰 상관없는 거 아니냐고? 모르는 말씀! 그동안 눈치 채지 못하고 있었던 공원의 중요성을 알려 줄게. 공원이 적 ... 왜 필요할까?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글의 저자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스타일측정법(stylometry)’을 곡 분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희곡 ‘이중 거짓’ 원작자, 셰익스피어로 밝혀져 스타일측정법은 통계학에서 글의 저자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 기법이다. 기원은 1851년 영국의 수학자인 오거스터스 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나왔습니다.doi:10.1016/j.devcel.2018.05.024 게다가 더 신기한 것은 이러한 췌장 발달 방법이 수명과도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이스라엘 히브리대 의대 하사다 병원 소속 유발 도르 교수팀은 갓 태어난 쥐와 태어난 지 8개월 15일이 지난 쥐의 췌장을 비교했습니다. 갓 태어난 쥐의 췌장은 무게가 8.5mg, ... ...
- In My Life 누가 작곡했을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밴드, 대중성과 음악성을 모두 겸비한 최고의 아티스트. 어떤 수식어로도 표현하기 힘든 영국 록밴드 비틀즈는 한 시대를 풍미한 최고의 음악 그룹이다. 하 ... 시작에 지나지 않아요. 작곡자들의 서로 다른 작곡 스타일을 찾을 수 있는 수학적 방법을 찾고 싶어요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교수는 중학생도 풀수 있는 수학 문제를 ‘옥타브’ 프로그램을 이용해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 ‘코딩수학’을 시리즈로 내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메르스 같은 전염병이 어떻게 퍼지는지 예측하고, 내비게이션이 최적의 길을 찾는 원리를 찾으며, 화질이 좋지 않은 이미지에서 정보를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진짜 나무는 몇 개만 있고 나머지는 속에 다면체밖에 없는 분신 나무들이다. 이 방법을 쓰면 데이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수치 정보만 있어도 각도나 방향을 다르게 움직일 수 있으니 단순한 꼭두각시 인형도 아니다. 제각각 다르게 움직이는 그림자 분신술이라니! 좋은 아이디어 덕에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